1강 그래프 | 경제 변수 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며 이론의 핵심을 보여준다. 정관계(기울기 +, 우상향, 생산량과 총비용) & 역관계(기울기 -, 우하향, 여가시간과 소득). 델타=변화량. 기울기는 델타Y/델타X. 우하향&기울기 증가=원점에 대해 오목한 그래프. 우하항&기울기 감소= 볼록 |
자원의 희소성(한정성) | 경제학의 이유. 생산요소로서의 자원이 한정되어 있어 우리가 원하는 재화(상품과 서비스)를 원하는 만큼 생산할 수 없는 것. |
자원=생산요소 | 1.천연자원 2.자본(과거에 생산되서 현재 생산과정에 투입되는 자원). 3. 노동. 생산요소로서 자본은 노동을 제외한 전부. 생산자=자원을 투입하여 유용한 재화들을 생산하는 주체=기업 |
자원분배의 세가지 근본 문제 | 자원은 희소하기 때문에.. 1. What 무엇을 얼마나 생산할 것인다. 2. How 어떻게 생산할 것인가? 3. For Whom 누구를 위해 생산할 것인가?. 자본주의에서는 자원배분의 문제를 시장을 통해 해결. |
2강 생산가능곡선 | What 무엇을 생산할 것인가를 시각적 설명. 한 사회가 주어진 자원(=생산요소)과 생산기술 하에서 최대로 생산할 수 있는 재화(상품과 서비스)의 크기를 보여준다. 두 재화로 그래프 단순화. 자원은 희소하므로 곡선은 우하향한다. 재화의 생산이 증가할 수록 한계비용이 증가하므로 곡선의 기울기는 증가(오목)한다. |
기회비용 | 그 선택을 함으로써 포기해야 하는 다른 선택중 가장 큰 가치를 갖는 것. |
한계비용(추가적) | 재화 한 단위를 추가로 생산하는데 드는 비용. 생산이 증가할 수록 한계비용도 증가(기울기 증가.오목)한다.(생산이 증가하면 다른 생산에는 적합하나 그 재화 생산에 부적합한 자원을 사용할 수 밖에 없음) |
생산 효율성 | 생산가능곡선 선상에 있을 때 생산 효율적. 아래(안)에 있을때 비효율적(생산요소가 완전히/적재적소에 투입되지 않는 경우). 위(바깥)에 있을때- 현재의 자원과 기술수준으로는 생산불가능 => 경제 성장(생산가능곡선 우상향으로 확장) |
경제체제 | 계획경제체제(자원배분 비효율).자유방임 경제체제(시장에 의한 자원배분 효율적.소득분배 불공평).혼합경제체제(시장과 정부가 동시에 자원배분 관여. 효율성과 공평성 딜레마) |
시장실패 | 시장에 의한 자원배분이 비효율적이 되는 현상. 시장이 완전경쟁아닐때.공공재,외부효과=> 정부의 개입 필요한 근거. |
외부효과 | 한 경제 주체의 소비활동이나 생산활동이 다른 경제주체에게 이득을 주거나 피해를 주지만 그러한 이득이나 피해가 소비활동이나 생산활동에서 고려가 되지 않는 것. 외부효과가 존재할 때 시장실패는 발생한다. 에. 기업이 생산과정에서 오염물질을 배출해서 인근 주민이 피해를 보는 공해문제. |
3강 수요와 공급 | 가격이 올라가면 수요량이 감소, 수요가 감소하면 가격이 하락. 수요가 감소하면(수요 곡선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시장 가격이 하락한다. |
수요 | 어떤 재화에 대한 한 개인의 수요량: 그 재화의 가격을 보고 그 개인이 일정기간 동안 구입할 의도가 있는 양. 실제 사는건 소비량. 수요량은 가격의 함수. 관계가 수요 |
수요의 법칙 |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개인의 수요량은 감소. 하락하면 증가 |
수요 곡선 | 수요량과 가격의 관계. 역의 함수관계.우하향. 수요표. 수요의 법칙 수요 곡선 기울기 값은 -. 수평x=종속변수.수요량, 수직y=독립변수.가격. y가격이 변했을때 x수요량이 얼마나 변하는지 기울기.변화율. 보통 x가 변했을때 y가 얼마나 변하는지 기울기.변화율 등 보는 일반 함수 그래프와 반대 |
가격 이외에 수요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소득. 연관재의 가격. 소비자의 선호(새로운 정보 습득하면 선호 변경/수요량 변화). 미래에 대한 기대(주택 가격 상승하면 실수요량은 감소하나 미래에도 상승할거라 생각 투자 수요량은 증가) |
소득 | 소비자의 소득 수준이 변하면 소비하는 재화들의 수요량도 변함 |
정상재 | 소득 증가-수요량 증가하는 재화. e.g. 명품. |
열등재 | 소득 증가-수요량 감소. 돈이 없어 어쩔 수 없이 구입. 개인별로 차이. e.g. 짝퉁. |
연관재의 가격 | 대체재 & 보완재 |
대체재 | A 가격 상승시 B 수요량 증가. 소주&맥주 |
보완재 | A 가격 상승시 B 수요량 감소. 치킨&맥주 |
기펜재 |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더 큰 열등재로서 수요의 법칙이 성립하지 않는 재화. 고기의 열등재인 빵의 가격이 올라도 빵이 가장 싼 음식이기 때문에 빵의 수요는 는다. |
대체효과 | 한 재화 가격 상승시 수요량 감소, 대체재 수요량 증가. 대체관계에서는 가격과 수요량 항상 역관계 |
소득효과 | 한 재화의 가격변화로 생기는 실질소득변화가 수요량에 영향 효과. 명목소득은 그대로인데 재화의 가격이 오르면 구입할 수 있는 재화의 양이 감소 실질소득은 감소. |
정상재의 소득효과 | 가격상승=>실질소득감소=>수요량 감소. 소득효과는 소득이 느는것 보다, 재화의 가격 상승으로 실질 소득이 감소하는 경우.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모두 가격과 수요량 간 역관계 |
열등재의 소득효과 | 정상재 가격상승=>실질소득감소=> 대체재 수요량 증가. 대체효과는 역관계. 소득효과는 정관계. 현실적으로 소득효과가 크더라도 대체효과보다 크지는 않아 가격과 수요량 간에 정의 관계를 보여주는 재화는 거의 존재하지 않음. 이론적으로는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더 큰 열등재가 존재할 수 있음(기펜재) |
명목소득 | 화폐액으로 표시된 소득 |
실질소득 | 명목소득으로 구입할 수 있는 재화의 양. 실질 구매력. 가격상승=실질소득 감소 |
수요량의 변화와 수요의 변화 | 수요가 감소해서 수요곡선이 좌측으로 이동(수요의 변화.증가): 정상재=소득감소, 열등재=소득증가, 대체재 가격하락, 보완재 가격상승 |
개별 수요와 시장수요 | 개별수요곡선 우하향=시장수요곡선도 우하향. 개별수요가 증가해서 개별수요곡선이 우측이동하면 시장 수요 곡선도 우측이동 |
공급 | 어떤 재화에 대한 한 기업의 공급량: 그 재화의 가격을 보고 그 기업이 일정기간 동안 생산할 의도가 있는 양. 가격이 오르면 공급량 증가, 내리면 감소. 정의 함수관계 |
공급의 법칙 |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기업의 공급량 증가. |
공급곡선 | 공급량과 가격의 관계. 공급표가 보여주는 가격과 공급량의 관례. 정의 관계.우상향. 기울기값은 + |
가격이외에 공급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생산요소의 가격, 기술수준, 정부정책 |
생산요소의 가격 | 생산요소 가격 증가하여 기업이 지불할 비용 증가하면 재화가격이 그대로라도 공급량 감소. |
기술수준 | 기술수준 향상되면 기업의 비용 절감, 공급량 증가 |
정부 정책 | 최저임금제, 영업시간규제, 법인세율 인상 등 |
공급량의 변화와 공급의 변화 | 생산요소 가격상승 -> 각 가격에서 공급량 감소 -> 공급곡선 좌측 이동 = 공급 감소. 공급이 증가해서 공급 곡선 우측 이동=생산요소 가격의 하락, 기술수준의 향상. 좌측이동=생산요소 가격 상승, 기술 수준 후퇴 |
개별 공급과 시장공급 | 개별공급이 증가해서 개별공급곡선이 우측 이동하면 시장공급곡선도 우측 이동 |
4강. 시장의 균형 | 수요와 공급이 만나서 거래가 이루어지는 곳. |
균형가격과 균형생산량의 결정 | 초과수요=>가격상승=>수요량감소,공급량증가=>초과수요량감소. 가격이 균형가격 수준에 도달하면 더이상 가격이 변하지 않음. |
균형 | 아무런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안정적인 상태. 재화시장에서는 시장수요량과 시장공급량이 일치하는 상태(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만나는 점 E). 이 상태에서 가격이 균형가격이고 생산량이 균형생산량=판매량. |
수요와 공급의 변화와 그에 따른 가격과 생산량의 변화 | 외부 충격 받으면 균형 시장이 불균형 상태가 됨. 초과수요나 초과공급이 존재하는 불균형상태에서는 가격이 조정되어 새로운 균형으로 수렴. |
균형가격과 균형생산량의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별 접근법 | 기말시험 1. 어떤 변화가 수요곡선을 이동시키는지(소득.연관재가격.소비자선호.미래의기대), 공급곡선을 이동시키는지(생산요소가격,기술수준, 정부정책) 판정. 2. 수요.공급곡선이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는지 판정. 3. 균형가격과 균형생산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 정상재/열등재에 따라 다르다. |
수요변화 | 시험. A 정상재의 경우 소득증가=수요증가=균형가격 상승.균형생산량증가. B 대체재의 가격하락-정상재 수요감소.기존 균형가격에서 초과공급 발생-가격하락. 정상재 소득증가, 열등재 소득 감소, 대체재 가격상승, 보완재 가격하락 == 수요증가->수요곡선 우측이동->균형가격상승, 균형생산량증가. |
공급변화 | 임금하락->사과(정상재)공급증가->사과 공급곡선 우측이동. 기존의 균형가격에서 초과공급발생->가격하락->수요량증가,공급량감소->초과공급량 감소. 균형가격하락, 균형생산량 증가. 생산요소 가격하락/기술 향상=공급증가=> 공급곡선 우측이동=균형가격 하락, 균형 생산량 증가. |
수요.공급 동시 변화 | A 수요와 공급 동시 증가(수요와 공급의 이동폭에 따라 가격이 오르거나 내린다): 소비자 소득 증가, 사과 생산에 투입되는 노동의 가격 하락. 수요 곡선 이동폭이 공급곡선 이동폭보다 더 크면 균형 가격 상승.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면 균형생산량 증가. B 수요증가, 공급감소: 수용곡선 이동폭이 공급곡선보다 크면 균형생산량 증가. 수요곡선 우측으로 이동/공급곡선 좌측으로 이동하면 균형가격 항상 상승. § 수요증가,공급증가→ 균형 가격 불분명,균형 생산량 증가. § 수요감소,공급감소→ 균형 가격 불분명,균형생산량 감소 § 수요증가,공급감소→ 균형 가격 상승,균형 생산량 불분명 § 수요감소,공급증가→ 균형 가격 하락,균형 생산량 불분명 ==> 그래프로 공부해야 |
5강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 I | 수요의 가격탄력성, 구간탄력성/점탄력성, 수요곡선의 기울기. 가격탄력성 크기 |
1. 탄력성의 개념 | 한 변수가 변했을 때 다른 변수가 얼마나 변하나. 탄력성 크다 = 변화에 민감 = 기울기 완만 |
수요의 가격탄력성 | 가격이 변했을때 수요량이 얼마나 변하나. 수요량의 %변화율 / 가격의 %변화율(그래프 세로) |
탄력성 | 0 완전비탄력적, 0~1 비탄력적. 1~ 탄력적, 무한대 완전탄력적 |
2. 구간탄력성 | 가격의 수준이 변할때 수요량 변화. 두 구간에서의 다른 탄력성 계산 나오는 것 극복위해 중간점으로 변화율 계산 |
3. 점탄력성 | 수요의 가격탄력성=(1/수요곡선의 기울기) x P/Q, 기울기 = 델타P / 델타Q 기울기가 커질수록(급할수록) 가격탄력성 작아진다. 작을수록(완만할수록) 커진다. 수직일 때, 탄력성 0 = 완전 비탄력적, 수평일 때, 탄력성 무한대 = 완전 탄력적 |
4. 직선의 수요곡선 | 중간점에서는 항상 탄력성이 1. 세로축상에서는 완전탄력적, 가로축상에서는 완전비탄력적 |
5. 가격탄력성의 결정요인 | 대체재가 없을수록,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을수록, 필요성의 정도가 높을수록 수요 가격 탄력성 낮음. 1.밀접한 대체재의 존재: 있으면 가격탄력성 커짐(오르면 대체재로), 없으면 탄력성 작아짐(어쩔수 없이 사야) 2.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낮으면 민감 반응 않음=가격탄력성 낮음(껌) 3.필요성 정도: 꼭 필요하면 가격올라도 수요량 줄지 않음-비탄력적(의료) |
탄력성 크기에 따라 | 가격이 변화했을 때 총수입은 어떻게? 탄력적=가격 오르면 수입 감소, 비탄력적=가격오르면 수입 증가 |
6강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 II | 수요가격 탄력성 변화에 기업의 총수입 변화, 소득탄력성/대체탄력성, 공급의가격탄력성, 농산물/장단기 원유 |
1.수요의 가격탄력성과 총수입 | 가격 올리면 생산량(판매량) 감소 => 총수입 감소. 수요가 비탄력적이라면 총수입 증가 가격 하락시 수요 탄력적(가격하락에 비해 생산량 증가율이 더 큼)이면 총수입 증가. 수요 탄력성 1 = 총수입 변화X 수요 탄력성 < 1 = 비탄력적 = 가격.총수입 같은 방향 수요 탄력성 > 1 = 탄력적 = 가격.총수입 반대 방향 수요 탄력셩 = 1 = 단위탄력적 = 가격 변해도 총수입은 변하지 않는다 |
2. 다른 수요탄력성 | |
소득탄력성 | 소득탄력성 = 수요량의 %변화율 / 소득의 %변화율 정상재: 소득증가=수요증가, 소득감소=수요감소. 소득탄력성 양수 값 열등재: 소득증가=수요감소, 소득감소=수요증가, 소득탄력성 음수 값 시험 필수품 소득탄력성은 작고 사치품은 높음 |
교차탄력성 | 한 재화 가격 변했을 때 다른 재화의 수요 탄력성. 수요의 교차탄력성 = 재화 1의 수요량 %변화율 / 재화 2의 가격% 변화율 대체재(배.사과) 간의 교차탄력성: + 값 보완재(중고차.휘발유) 간의 교차탄력성: - 값 |
3. 공급의 가격탄력성 | 가격이 변했을때 공급량이 얼마나 변하나, 공급량의 % 변화율 / 가격의 % 변화율 가격과 공급량 같은 방향으로 변하기 때문에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 값 |
공급의 가격탄력성 요인. 중요! | 1.생산요소 공급의 신축성: 아무나 변호사가 될 수 없으므로 법률서비스 공급은 가격에 비탄력적. 2.장기의 공급이 더 탄력적: 단기적으로 주택공급은 고정=완전비탄력적, 장기적으로 주택공급증가 |
공급의 점탄력성 | 공급곡선의 기울기가 클수록 탄력성 작아진다 |
4. 수요와 공급탄력성 응용사례 | 시험에 안나옴 |
1.배추가격 | 높은 변동성: 수요와 공급곡선 수직에 가까운 기울기, 대체재없고 급등락 심함=수요.공급 비탄력적 김치 대체재 드뭄=김치수요 가격에 비탄력적=배추 수요도 가격에 비탄력적 배추 가격 올라도 바로 배추 공급량 늘릴 수 없음=배추 공급도 가격에 비탄력적 |
2. 유가 | 고유가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 않는 이유: 수요 공급 모두 단기적 비탄력적, 장기적 탄력적 단기적, 자동차연료의 수요는 가격에 비탄력적 장기적, 자동차구입 감소, 연비높은차 구입 등 소비변화로 가스의 수요 줄어 가격에 탄력적으로 변화 단기적, 원유매장량 고정, 원유생산설비 시간 걸려 원유 공급은 가격에 비해 비탄력적 장기적, 원유탐사로 매장량 늘고, 생산능력 확충, 공급 상당히 탄력적으로 될 수 있다. 가격 상승폭은 단기와 비교해 훨씬 적음 |
7강 소비자의 선택이론 | 소비자에게 소득과 재화의 가격이 주어졌을 때 소비자가 재화를 얼마나 수요하는지 분석. |
효용 | 좋은 것(주관적). 어떤 재화를 소비함으로써 얻게 되는 만족감/행복감의 척도. 효용수준(효용 높낮이). |
예산 제약 | 소득과 재화의 가격에 의해 소비자가 소비할 수 있는 재화의 양이 결정되는 것 |
예산 제약선 | 주어진 소득에서 재화들을 얼마나 살 수 있는지. 직선.우하향(소득 제약). 두 재화 |
절편 | 수평축 및 수직축과 만나는 점 |
예산 제약선 기울기 | 수평축 변수 한단위 변할 때 수직 축 변수의 변화량. y/x |
소득변화에 따른 예산 제약선 이동 | 소득 증가, 예산 제약선 우측 평행이동(기울기 결정하는 재화의 가격은 변함없으므로) |
가격변화에 따른 예산 제약선 이동 | 수평축 재화(햄버거) 가격 상승= 수직축 절편(커피양) 변하지 않고 기울기 증가(급해짐)(햄버거 줌). |
소비자의선호: 무차별 곡선 | 무차별하다=효용이 같다. Indifference Curve. 소비자에게 동일한 만족을 주는 상품묶음을 연결한 곡선. 효용이 극대화된(=소비자의 선호) 점(여러 점 동일한=무차별 효용)을 찾는. |
효용 | 어떤 재화를 소비함으로써 얻게 되는 만족감 또는 행복감을 나타내는 척도 |
무차별 곡선 형태 | 우하향(뭐 하나 증가하면 다른건 감소한다). 볼록 커브=한계 효용 감소. 선상 왼쪽 위, 오른쪽 아래 점에선 한 재화는 많이 소비하나 다른 재화는 적게 소비하여, 적게 소비하는 재화의 효용증가가 상당히 큼. |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 소비량이 늘어날수록 한계효용이 감소하는 법칙 -추가적인 소비에 효용 증가 감소. |
한계대체율 MRS | Marginal Rate of Substitution. 무차별곡선의 기울기. 한 재화의 소비량이 변했을 때, 다른 소비량이 얼마나 많이 변하는지(대체되는지). 재화들이 서로 대체될 때 소비자가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두 재화 간의 대등한 교환가능 가치의 비율. -1/2라면 효용 수준이 변하지 않음 의미. 햄버거(x) 한 개가 커피(y) 4잔으로 대체되면 한계대체율은 -4 |
8강 소비자 선택이론II와 생산함수 | 예산제약선과 무차별곡선으로 소비자의 효용극대화 소비량=수요량을 찾는 방법. 가격변화/소득변화가 수요량에 미치는 영향. 단기생산함수. 노동 한계생산물의 감소 이유. |
01 소비자의 선택: 효용극대화 | 모든 소비자는 주어진 소득(예산=>예산선)을 가지고 각 재화의 가격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가장 큰 만족(=효용=>무차별곡선)을 주는 재화들의 소비량을 선택=효용극대화 |
소비자의 최적 선택 | 무차별곡선과 예산 제약선이 만나는 점중 원점에서 멀어질수록(우상쪽 일수록) 효용 수준 더 높아짐. |
소비자의 최적점 (효용극대화점) | 예산제약선과 무차별곡선이 접하는 점=그 점에서 두 선의 기울기(예산선=가격비율, 무차별곡선=한계대체율)이 같다. |
소비자의 효용극대화 조건 | Px/Py( 예산제약선의 기울기)=MRS(한계대체율, 무차별 곡선 기울기) => 같지 않으면 소비량 변화로 효용 증가 |
가격변화가 소비자선택에 미치는 영향(수요량 변경) | 가격 인하=>소비량 증가(그래프), 햄버거 가격 인하=>효용극대화 점. 햄버거 소비량 증가=> 커피도 증가 => 보완재=무차별곡선 아래쪽 대체재: 햄버거 가격인하에 커피 수요량 감소 무차별곡선 위쪽. 소비자 수직측 재화 선호-무차별 곡선 위.왼쪽. 수평측 선호 -아래.오른쪽 |
소득변화가 소비자선택에 미치는 영향(수요량 변경) |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수요량이 증가하면 정상재이고 감소하면 열등재(기울기 커짐). 소비자의 선호(무차별곡선)에 따라 정상재가 될 수도 있고 열등재가 될 수도 있음 |
02 비용 | 기업=이윤극대화. 이윤=총수입-총비용. 총수입=총생산량X가격. 총비용은 기업이 생산을 위해 투입하는 생산요소에 지불하는 금액을 다 합한 것 => 이윤극대화를 위해 총수입 늘리는 것 중요하지만, 총비용도 낮춰야 |
명시적 비용 | 현금으로 지출된 비용=>회계학적 비용. 눈에 보이지 않는 비용은 암시적 비용. |
경제학적 비용 | 경제학적 비용(기회비용)=명시적비용+암시적비용. |
경제학적 이윤 | =총수입-경제학적비용(기회비용)=총수입-명시적비용-암시적비용. 회계학적 이윤=총수입-명시적 이윤. 정상이윤: 이윤=0. 초과이윤: 이윤>0 |
03 단기 생산함수 | 단기에서는 변동생산요소인 노동의 양만 변화하므로 근로자의 수와 빵 생산량간의 관계가 단기 생산함수가 될 수 있음 |
단기 | 노동의 투입량(변동생산요소)은 바꿀 수 있고 공장규모(고정생산요소)는 바꿀 수 없는 기간 |
생산요소 | 단기에 변화시킬 수 있는 노동과 같은 생산요소 :변동생산요소, 공장규모와 같이 단기간에 변화시킬 수 없는 생산요소(자본) :고정생산요소 |
생산함수 | 생산량과 생산요소투입량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식, 단기는 노동밖에. X 근로자 수 Y 빵 생산량. |
노동의 한계생산물 | 노동 한 단위가 변함에 따라 변화하는 생산량의 크기. 생산함수 그래프의 기울기. |
한계생산물체감현상 | 생산요소의 투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한계생산물이 계속 감소하는 현상. 공장 같은 고정생산요소 때문에 적정 근로자 수를 초과하게 되면 한계생산물 감소, 공장규모가 커서 적정수준까지 근로자수가 증가할때는 한계생산물 증가하기도. |
9강 비용 | 총비용, 평균비용, 한계비용, 총비용곡선, 평균비용곡선 |
1. 단기 총비용 함수 | 변동생산요소(단기, 노동) 변화시 생산량과 총비용간 관계, 노동한계생산물 감소(기울기 완만해짐), 빵 생산량 vs 근로자수 |
총비용함수(비용함수) | 생산량과 총비용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함수식, 한계비용 증가(노동한계생산물 감소 때문에, 기울기 증가), 생산함수 뒤짚은 모양 |
2. 단기비용함수 | 단기생산함수에서 단기비용함수 도출 => 형태 |
고정비용(FC) | 생산량이 변해도 변하지 않는 비용. eg. 임대료. 수직축 절편의 크기 |
변동비용(VC) | 생산량이 변함에 따라 그 크기가 변하는 비용 |
총비용(TC) | 고정비용 + 변동비용 |
총비용곡선 형태 | 고정자산 절편에서 시작, 누운 S자 |
평균비용(AC) | 시험. 생산량 한 단위당 비용. AC=총비용/총생산량. 총비용 = 평균비용 X 생산량. AC=고정비용/생산량+변동비용/생산량=평균고정비용(AFC)+평균변동비용(AVC) 감소하다가 증가(변곡점). |
한계비용(MC) | 생산량 한 단위가 변할 때 변화하는 비용의 크기. 생산량이 적을때 하락할수도 있으나(처음에 협력과 전문화로 생산효율 상승), 많을수록 커진다. MC = Δ총비용 / Δ산출량 |
평균비용곡선 | U자. 최하 바닥점=효율적인 생산량(노동한계생산물 증가하다 감소하는 변곡점). 생산량 적을때 고정평균비용 크고, 생산량 증가하면 평균변동비용 비중 커짐. |
각종 비용 곡선 형태 | |
평균비용곡선과 한계비용곡선 | 그래프모양 시험. 한계비용곡선은 평균비용곡선 최하점을 통과해야. 평균비용이 한계비용보다 높다가 평균비용이 가장 낮아지는 생산량 = 평균비용 = 한계비용 한계비용이 평균비용보다 높아짐 |
3. 장기비용 | 모든 생산요소가 변동생산요소. 고정비용X |
규모에 대한 수익과 장기총비용곡선 | 모든 생산요소(공장,노동자..)를 변화시켰을 때의 생산량의 변화 규모에 대한 수익이 증가=총비용 증가에 비해 생산생 더 증가 = 총비용곡선 기울기 감소 규모에 대한 수익 감소=총비용곡선 기울기 증가 |
장기평균비용 | 생산량이 낮을때 규모에 대한 수익 증가(생산량증가>총비용증가):노동의 전문화.자동화 생산량 대규모=>규모에 대한 수익 감소(총비용증가>생산량증가):경영의 비효율성 |
10강 완전경쟁시장의 단기균형 | 완전경쟁시장, 이윤극대화 조건, 균형생산량, 초과이윤/손실, 기업의 공급곡선 |
1. 완전경쟁시장 조건 | 1.수많은 소비자. 생산자 2.생산자 공급 재화 똑같아야=소비자는 생산자 상관안함 3.소비자.생산자 필요 모든 정보있어야=> 부동산, 정확한 시세를 몰라 완전경쟁시장X 4.기업 자유롭게 시장 진입. 퇴출=> 장기균형시 모든 기업의 이윤은 정상이윤 |
가격 수용자 | 완전경쟁시장에서 소비자.생산자. 시장가격에 영향 못 미침 |
2. 완전경쟁시장의 단기균형 | 단기=>기업의 진입.퇴출 불가 기간 = 기업의 수 변하지 않음 기업의 목표=이윤극대화 => 그 때 생산량이 이윤극대화 생산량 = 균형생산량 |
균형생산량 | 이윤극대화 생산량 |
이윤 | 총수입 TR - 총비용 TC, 총수입(매출액) = 생산량Q x 가격P |
완전경쟁 시장가격 | 중요! 완전경쟁 시장에서는 한 기업이 생산을 늘리거나 줄여도 시장가격 불변 => 독점과 비교 |
한계수입(MR) | 중요! MR = Δ 총 수입 / Δ 생산량 = 가격, 생산량 한 단위 증가시 총수입은 가격만큼 증가하는데, 가격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증가비율 일정. 한계수입선=평행 |
이윤극대화 조건 | 암기! => 한계수입 = 한계비용, MR = MC. 이윤=TR-TC 총수입선의 기울기 = 한계수입=> 이 두 기울기가 같을 때 이윤극대화 한계수입>한계비용 =>생산량 증가하면 이윤 증가 한계수입<한계비용 =>생산량 감소하면 이윤 증가 => 이윤극대화 생산량에서 한계수입=한계비용 => 기업의 균형 생산량 |
초과이윤 기업 | 이윤 > 0 => 이윤극대화 생산량에서 가격 > 평균비용 |
손실이지만 조업 기업 | 이윤 < 0 => 고정비용 때문에. 가격 < 평균비용. 손실의 최소화가 이윤의 극대화. 가격>평균가변비용 AVC |
조업중단 기업 | 가격<평균가변비용 AVC, 조업중단점=평균가변비용곡선의 최저점 그래프로 계산하기. 1. 이윤극대화생산량(MR=MC) 2.TR=그 점의 Q x P) 3.TC=그 점의 Q와 AC가 만나는 점의 Q x P. |
단기. 기업의 공급곡선 | =기업의 한계비용곡선(AVC 위의 곡선만, 아래는 조업X이므로) |
11강 완전경쟁시장의 장기균형 | 단기 초과이윤/손실-조정과정-장기균형 수렴. 장기균형조건. 수요변화에 따른 장기 균형생산량의 변화 (장기공급곡선) |
1. 단기에서 장기로의 조정과정 | 조정: 기업의 새 진입.퇴출 기업이 초과이윤을 보장한다면 새 기업들 진입, 손실을 피할 수 없다면 기업들 퇴출 |
배추시장 | 배추 수요 증가=>배추가격 상승=>배추농가 이윤증가=초과이윤증대=>새 농가 진입=>가격하락=>이윤감소=>기존 농가 퇴출=>가격상승=>손실감소=>정상이윤 1.P=MR 2.MR=MC 점 P x Q 3. AC 최저점 => TR=TC =>이윤 0 => 장기균형상태 |
정상이윤 | 수입과 비용이 일치하여 이윤이 0이 되는 것 |
단기균형시장 vs 장기 | 전체 시장에서 배추생산량은 증가, 개별 농가는 생산량 줌(다른 농가 들어와서)=>개별농가 생산량은 단기 균형에서 더 큼 단기손실에서 장기 기업들 퇴출, 전체 공급량 감소. 정상이윤이 되면 퇴출 중지 전체 시장 균형생산량은 단기 균형에서 더 크고, 개별 농가의 생산량은 장기 균형에서 큼 |
2. 장기균형조건 시험 |
- 균형이 유지되려면, 기업.퇴출 없는 상태=>모든 기업의 이윤=0(정상이윤) => TR=TC, TR = P x Q, TC = AC x Q, P x Q = AC x Q => P(가격) = AC(평균비용) - 가격과 한계수입의 일치. P = MR, 이윤극대화조건 MR = MC, P = MC = AC - AC 평균비용곡선 최하점에서 생산=효율적인 생산=> 가장 낮은 평균비용 수준이 재화의 가격이 되므로 기업이 손실을 보지 않는다면 소비자는 가장 낮은 가격으로 재화 구입(완전경쟁에서 장기로 가면 소비자에게 유리) |
3. 장기공급곡선 | 공급곡선=재화의 가격의 변했을때 공급량 단기공급곡선: MC가 AVC 위에, 우상향(한계비용 증가하므로) 장기공급곡선: 기업의 수가 변하는 장기조정과정을 거친 후의 공급곡선 |
12강 독점시장과 독점적 경쟁시장 | 진입장벽, 균형생산량.가격 결정. 한계수입 낮은 이유. 독점적 경쟁시장에서 단기.장기 균형생산량 |
1. 독점시장 2. 독점은 왜 생기는가 | 생산자(기업) 하나만. 1.생산요소의 독점: 밀접한 대체재의 존재에 따라 2.정부에 의한 독점: 독점의 편익이 비용보다 크다 -특허권제도(연구개발 유도), 저작권제도(창작 유도), 자격증제/허가제(질 낮은 상품.서비스 공급 제한) 3.규모의 경제 시험: 자연독점. 규모가 커지면 생산량 증가, 단위당 비용=평균비용 감소=> 작은 기업보다 낮은 가격 책정 가능 => 자연적으로 규모 큰 기업만 생존.독점(고정비용 클수록, 철도.수도.전기.가스) => 가격 높아짐 => 정부 개입 불가피(1.정부 직접 생산, 2.민간부문 생산-정부 가격 규제) |
가격설정자 | price maker 원하는 가격 설정 가능 기업. 완전경쟁기업은 가격수용자(price taker) |
진입장벽 | barriers to entry 어떤 산업으로 기업이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초과이윤 생기게=>높은 가격으로 소비자 피해. 시장경제 지지 보수는 가능한 진입장벽을 낮춰 경쟁을 촉진할 때 효율성 증진된다고 (로스쿨제도=>법률서비스 가격 낮춤) |
3. 독점기업의 생산과 가격결정 | MR=MC(=P 완전경쟁시장, 가격결정되면 그 가격에 원하는 양 생산 판매 가능), MR=P가 아님=>독점기업은 한계수입이 다르다(시장 수요에 따라 가격과 생산량 결정해야, 높은 가격에 많이 팔면 좋으나, 소비자가 사야. 생산량 늘수록 한계수입이 줄어 -값을 가지면 총수입이 줄수도) |
독점기업의 균형 | 그래프 중요! 이윤극대화 생산량은 MR과 MC 만나는 생산량 1. 이윤극대화(균형) 조건: MR = MC 균형점서 올라가 수요선 만나는 점 B 균형가격(P*) 결정 2. 이윤=수입(생산량Q*x가격P*)-평균비용(AC 만나는 점 C) 장기=>새기업 진입=>공급량증가=>가격하락=>정상이윤만 남음. 그러나 독점시장에서는 진입장벽으로 계속 초과이윤 가능 |
완전경쟁시장 vs 독점시장 | 완전경쟁시장=> MC 곡선과 수요곡선 만나는 곳이 균형 독점시장=> MC와 MR이 만나는 곳이 균형 = 생산량 독점시장이 더 작음. 가격은 독점시장이 더 높음 |
독점적 경쟁시장이 되는 경우 | 1. 다수의 공급자, 2.제품 차별화 (독점과 유사, 다양한 가격,제품, 소비자 선택 폭 넓음 eg. 식당,학원,병원,스크린골프장), 3.자유로운 진입과 퇴출 a.단기균형: 새 기업 진입 못함. 기업 초과이윤도, 손실도 가능 b.장기균형: 초과이윤=>기업 수 증가. 손실=>기업 수 감소. 둘 다 장기적으로 정상이윤=0 시험. 그래프 독점적 경쟁기업의 평균비용이 완전경쟁기업보다 더 높음 |
13강 노동시장 | 노동수요-이윤극대화-노동의 한계생산치 곡선=노동수요곡선, 노동자개인의 노동공급=여가에 대한 수요. |
1. 노동수요 | 최종재: 소비의 대상이 되는 재화 => 생산요소 투입해야. 그 중 제일 중요한 것이 노동 가정 1. 기업은 이윤극대화가 목표, 2. 재화.노동시장은 완전경쟁시장 |
생산함수 | 생산요소 투입량과 생산량간의 관계. => 생산요소가 노동인 경우. 단기생산함수 이윤 = 수입 - 비용 |
노동의 한계생산 MPL | 노동 투입량 한 단위 변할 때 생산량 크기 변화. 한계생산 체감 |
노동의 한계생산 가치 | VMPL 노동 투입량 한 단위 변할 때 수입의 변화 = 노동의 한계생산 x 생산물의 가격 |
노동 고용량 결정에서 이윤극대화 조건 | 노동의 한계생산가치(VMPL) = 임금(W) => 노동의 수요곡선 = 노동의 한계생산 가치 곡선. 시험. 노동의 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이유=노동의 한계생산 가치가 감소하므로 |
노동수요곡선 | 우하향 |
2. 노동공급 | 임금 수준에 따라 노동 공급량 변함 |
노동공급자의 균형 | 전체시간 - 여가(일하지 않는 시간) 시간. 여가 한 시간의 가격은 시간당 임금 => 여가의 수요(노동자의 효용극대화 선택)는 예산제약선(일일소득과 여가시간, 기울기=시간당 임금)과 무차별곡선(노동자 효용극대화점)으로 |
임금변화에 따른 여가수요량(노동공급량)의 변화 | 임금상승 => 예산 제약선 기울기 증가, 하락=> 감소 임금상승시, 여가수요량 증가할 수도, 감소할 수도: 임금 변했을 때 대체효과와 소득효과가 동시 작용, 이 두 효과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소득효과가 크면 여가 늘고, 대체효과 크면 노동 늚)=> 노동자 개인의 선호체계가 다르면 무차별곡선의 형태도 달라지며 대체효과.소득효과의 크기는 노동자마다 다름. |
임금 상승에 따른 대체효과 | 임금상승 => 여가 가격 상승 => 여가 수요량 줄임(=노동 공급 늘림) => 소득 증가 |
임금 상승에 따른 소득효과 | 임금상승 => 소득 증가 => 정상재인 여가 수요량 증가(=노동 공급 감소) |
노동공급곡선 | 임금수준이 낮으면 우하향 기울기(노동 증가, 대체효과>소득효과), 임금수준 높아질수록 우상향 기울기(노동 감소=여가증가, 소득효과>대체효과) 후방굴절(backward bending)노동공급곡선: 임금이 어떤 수준까지 우상향이다가 그 수준 넘어서면 좌상향 |
14강 자본시장과 토지시장 | 자본의 개념, 현재가치법, 최적투자결정, 이자율.예상수입, 토지서비스의 수요와 공급 |
1. 자본시장 | 자본=노동이외의 생산요소. 공급후 상당기간 생산요소로 기능 유형자본: 건물, 기계, 완제품, 원자재 재고 무형자본: 브랜드, 인적자본, 사회간접자본(도로, 교량) |
경제변수 | 저량변수(stock, 어느 한시점 측정), 유량변수(flow, 일정기간동안 측정) 유량변수가 변하면 관련된 저량변수도 변함 => 소득이 증가하면 재산이 많아짐 자본(저량)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유량변수 = 투자(자본의 양 증가 활동)와 감가상각(자본가치의 하락) |
금융시장 | 투자후 매출 발행은 나중에=> 차입해서 투자, 가계로부터의 자금 기업으로 중개=> 금융시장 가계(households): 기업에 생산요소 공급하고 소득을 받아서 소비, 저축=>투자 |
투자결정=자본의 공급 | 1.현재가치(PV) 계산(기계를 구입할건지, 이자율 올라가면 현재가치 감소): 현재 100원, 연 이자율r, 1년후=> 100(1+r), n년후=>100/(1+r)n제곱 2.최적 투자 수준: 이윤 극대화 투자수준=>자본의 한계생산가치 = 자본의 가격 수확체감의 법칙: 자본의 투입량이 증가할 수록 자본의 한계생산가치 감소 |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1. 이자율: 이자율 변하면 투자로 구입되는 자본재가 발생시키는 수입의 현재가치가 변해 투자가 변함 (이자율 상승 => 자본재의 한계생산가치 하락 => 투자감소) : 투자함수 2. 예상수입: 미래의 예상수입증가 => 자본의 한계생산가치 증가 => 투자 증가 : 기업의 경기 전망이 투자규모 결정에 영향 |
2. 토지시장 토지의 독특성 |
1. 토지의 용도 다양: 생산요소(농사,공장,주택용), 투자재, 소비재(공원) 2. 비이동성: 위치 고정으로 임대로나 가격은 주변 토지이용상황에 영향 받음 3. 이질성: 모든 토지 위치, 크기 등 다 다름, 거래시 정보 획득 어려움 4. 공급의 고정성: 토지의 총량 자연적 5. 영속성: 영원히 존재=>토지 가치 측정 어려움 |
지대와 지가 | 지대=임대료=>토지서비스(생산에 도움 줌) 지가=토지의 가치=> 매 기간 받는 지대를 현재 가치화 한 것 |
토지서비스 수요 | 기업이 얼마나 토지를 소유할까? => 이윤 극대화 조건: 토지서비스의 한계생산가치 = 지대 토지서비스의 한계생산가치(VMP, 토지서비스의 수요곡선) = 토지서비스의 한계생산 x 토지에서 생산되는 재화의 가격, 수확체감의 법칙 적용. |
토지서비스 공급 | 토지서비스의 공급자(토지개발자)도 이윤극대화 목표로 토지서비스 공급 이윤극대화조건= 토지서비스를 생산하는데 발생하는 한계비용 = 지대 |
<서론>
-정의 함수관계:우상향 그래프
역의 함수관계:우하향 그래프
-기울기:⊿y/⊿x(⊿x는 x의 변화량, ⊿y는 y의 변화량)
-자원의 희소성:생산요소로서의 자원은 한정되어 있어 무한 생산이 불가(생산 3요소 노동, 토지, 자본)
-기회비용:한 선택을 함으로써 포기해야 하는 다른 선택 중 가장 큰 가치
-한계비용:재화 한 단위를 추가로 생산하는데 드는 비용
-생산가능곡선:생산이 가장 효율적인 상태. 모든 재화를 생산에 투입하여 최대로 생산할 수 있는 재화의 양(원점에 대해 오목함, 우하향 그래프)
-생산가능곡선의 이동:노동, 자본 등 자원의 양이 늘거나 기술 수준이 향상되어 생산 능력이 확대될 경우
-계획경제체제:자원배분을 정부가 주도하여 결정(대부분 비효율적인 결과가 나타남)
-자유방임경제체제(자유시장):생산과 소비를 시장에 맡김(소득 불평등 문제가 발생함)
-혼합경제체제:시장과 정부가 자원배분에 관여함(대부분의 국가가 이 체제에 해당)
-시장실패:①시장이 완전경쟁적이지 않을 경우 ②공공재 생산을 시장에 맡길 경우 ③외부 효과가 존재 할 때
<수요와 공급>
-수요:어떤 재화를 일정한 가격으로 구매하고자 하는 욕구
-수요량:재화의 가격을 보고 일정 기간 동안 재화를 구입하고자 하는 양
-효용:한 재화를 소비했을 때 소비자가 얻는 만족도
-수요의 법칙:가격↑수요량↓,가격↓수요량↑
-수요곡선은 우하향의 그래프(x축 수요량 y축 가격)
-수요량 변화요인
①가격
②소득(정상재:소득↑수요량↑, 열등재:소득↑수요량↓)
③연관재(대체재:A재화의 가격↑ B재화의 수요량↑, 보완재:A재화의 가격↑ B재화의 수요량↓)
④소비자 선호도 ⑤미래에 대한 기대:주택가격 등
-대체효과:A재화의 가격↑수요량↓, B재화의 수요량↑(가격과 수요량이 항상 역의 관계)
-명목소득:화폐 단위 소득
-실질소득:명목소득으로 구입할 수 있는 재화의 양(실질구매력, 가격↑실질소득↓)
-소득효과:한 재화의 가격 변화에 따른 실질소득 변화가 수요량에 미치는 영향
①정상재:가격↑실질소득↓수요량↓
②열등재:가격↑실질소득↓수요량↑
-정상재:대체효과와 소득효과에서 가격과 수요량이 항상 역의 관계를 가짐
-열등재:대체효과는 역의 관계, 소득효과는 정의 관계를 가짐
-수요 증가로 수요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①정상재:소득 증가
②열등재:소득 감소
③대체재의 가격 상승
④보완재의 가격 하락
-가격의 변화는 수요량의 변화, 가격 이외의 변화는 수요곡선의 이동
-공급:재화의 가격에 따라 기업이 재화를 생산하고자하는 의도
-공급량:한 재화의 가격을 보고 기업이 일정 기간 동안 생산할 의도가 있는 양
-공급의 법칙:가격↑공급량↑,가격↓공급량↓
-공급곡선은 우상향의 그래프
-공급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①가격 ②생산요소의 가격 ③기술 수준 ④정부 정책(최저 임금 상승, 대출 금리 하락 등)
-공급 증가로 공급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①생산요소 가격의 하락 ②기술 수준의 향상
-가격의 변화는 공급량의 변화, 가격 이외의 변화는 공급곡선의 이동
<시장의 균형>
-경제학에서의 균형의 의미:아무런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안정적인 상태
-균형점:시장수요곡선과 시장공급곡선이 만나는 점 → 가격:균형가격, 생산량:균형생산량
-초과수요상태:수요량 > 공급량, 초과수요량 = 수요량 - 공급량, 초과수요는 가격 상승 요인
-초과공급상태:수요량 < 공급량, 초과공급량 = 공급량 - 수요량, 초과공급은 가격 하락 요인
-정상재:소득 증가, 열등재:소득 감소, 대체재의 가격 상승, 보완재의 가격 하락 → 균형가격과 균형생산량이 증가함
-생산요소의 가격 하락, 기술 향상 → 균형가격은 하락하고 균형생산량은 증가
-수요와 공급의 동시 변화
수요↑공급↑:균형가격 알 수 없음, 균형생산량↑
수요↓공급↓:균형가격 알 수 없음, 균형생산량↓
수요↑공급↓:균형가격↑, 균형생산량 알 수 없음
수요↓공급↑:균형가격↓, 균형생산량 알 수 없음
-최고가격제(가격상한제):초과수요가 나타남
최저가격제(가격하한제):초과공급이 나타남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
-탄력성:한 변수에 의해 다른 변수가 변화하는 크기
-수요의 가격탄력성:가격이 변했을 때 수요량이 변화하는 크기, 수요량의 % 변화율/가격의 % 변화율
-공급의 가격탄력성:가격이 변했을 때 공급량이 변화하는 크기, 공급량의 % 변화율/가격의 % 변화율
-완전 비탄력적:탄력성 = 0(그래프 수직)
비탄력적:0 < 탄력성 < 1
단위 탄력적:탄력성 = 1
탄력적:1 < 탄력성 < ∞(무한대)
완전 탄력적:탄력성 = ∞(무한대)(그래프 수평)
-수요의 구간 탄력성:가격이 한 수준에서 다른 수준으로 변했을 때 수요량의 변화를 가지고 구하는 탄력성(변화량의 중간점을 이용하여 계산)
-점 탄력성:수요곡선 상의 한 점에서의 탄력성을 의미
-수요곡선의 기울기↑ → 수요의 가격탄력성↓(수직과 가까워질수록)
수요곡선의 기울기↓ → 수요의 가격탄력성↑(수평과 가까워질수록)
-수요에 대한 가격탄력성의 결정 요인
①밀접한 대체재의 존재
②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③필요성의 정도
-기업의 총수입 = 가격 x 생산량
-탄력적 수요:가격 상승 → 총수입 감소
가격 하락 → 총수입 증가
-비탄력적 수요:가격 상승 → 총수입 증가
가격 하락 → 총수입 감소
-단위탄력적 수요:가격이 변해도 총수입은 불변
-소득탄력성:소득이 변했을 때 수요량의 변화 크기
→ 정상재는 양(+)의 값, 열등재는 음(-)의 값
-교차탄력성:한 재화의 가격이 변했을 때 다른 재화의 수요량의 변화 크기 → 대체재는 양(+)의 값, 보완재는 음(-)의 값
-가격에 대해 완전 비탄력적 공급:공급곡선이 수직
-가격에 대해 완전 탄력적 공급:공급곡선이 수평
-공급에 대한 가격탄력성의 결정 요인
①생산요소 공급의 신축성 ②분석 대상 기간(장기로 갈수록 탄력적임)
<소비자의 선택 이론>
-예산제약:소득과 재화의 가격에 의해 소비자가 소비할 수 있는 재화의 양이 결정되는 것
-예산제약선:주어진 소득으로 최대한 구입할 수 있는 재화의 양을 나타내는 선
-예산제약선의 이동
①소득 증가:우측(바깥쪽)으로 평행이동
②소득 감소:좌측(안쪽)으로 평행이동
③수평축 재화가격 상승:수직축 절편은 고정, 기울기 절대값이 증가(기울기가 급해짐)
④수평축 재화가격 하락:수직축 절편 고정, 기울기 절대값이 감소(기울기가 수평에 가까워짐)
-무차별곡선:소비자에게 동일한 만족을 주는 재화 묶음을 연결한 곡선, 이 선상에서의 모든 점의 효용수준은 동일함, 기울기는 우하향의 기울기를 가짐(원점에 대해 볼록함)
-한계대체율(MRS):무차별곡선의 기울기
-한계효용:재화 한 단위를 추가로 소비할 때 증가하는 효용(만족도)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소비량이 증가할수록 한계효용이 감소하는 법칙
-효용극대화:모든 소비자가 주어진 소득을 가지고 각 재화의 가격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가장 큰 만족을 주는 재화들의 소비를 선택하는 것(예산제약선과 무차별곡선이(원점에서 가장 먼) 만나는 점)
<비용>
-이윤 = 총수입(Total Revenue) – 총비용(Total Costs) *TR=PxQ
-초과이윤:경제학적 이윤 > 0
정상이윤:경제학적 이윤 = 0
-단기:고정생산요소의 투입량은 바꿀 수 없고 변동생산요소의 투입량만 바꿀 수 있는 기간
장기:모든 생산요소의 투입량을 바꿀 수 있는 기간
-생산함수:생산량과 생산요소 투입량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함수(그래프는 우상향)
-한계생산체감현상:생산요소의 투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한계생산물이 계속 감소하는 현상
-총비용함수(Total Costs):생산량과 총비용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함수. 비용함수라고도 함
-한계비용(Marginal Costs):총비용곡선의 기울기(점차 증가함)
-고정비용(Fixed Costs):생산량이 없거나 변해도 변하지 않는 비용(자본비용이 해당됨)
-변동비용(Variable Costs):생산량이 변함에 따라 그 크기가 변하는 비용(노동비용)
-총비용(TC):고정비용(FC) + 변동비용(VC)
-평균비용(Average Costs):생산량 한 단위당 비용(단가)
-평균고정비용(AFC):고정비용을 생산량으로 나눔
-평균변동비용(AVC):변동비용을 생산량으로 나눔
-AC이 최저가 되는 생산량이 생산 측면에서 효율적인 생산량임
-AC이 가장 낮아지는 생산량에서 AC과 MC같아지기 때문
-규모에 대한 수익이
일정:모든 생산요소의 투입량을 2배로 늘렸을 때(A) 생산량도 2배가 됨
증가:A일 때 생산량은 2배 이상이 됨
감소:A일 때 생산량은 2배 미만으로 증가함
<완전경쟁시장>
-조건
①수많은 소비자와 생산자가 존재함
②생산자가 공급하는 재화는 동일함
③소비자와 생산자는 필요한 모든 정보를 갖고 있음
④기업의 시장 진출입이 자유로움
-가격수용자(Price Taker):시장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시장가격에 물건을 매매하는 소비자와 생산자
-단기:기업의 진출입이 없어 시장 내의 기업의 수가 변하지 않는 기간
-균형생산량:기업의 이윤극대화 생산량
-기업의 총수입(TR) = P x Q
-한계수입(Marginal Revenue):생산량이 한 단위 변할 때 TR의 변화액(총수입곡선의 기울기)
-완전경쟁시장에서 MR = P
-이윤극대화 조건: MR = MC
-MR>MC:생산량이 증가하면 이윤이 증가
MR<MC:생산량이 감소하면 이윤이 증가
-P>AVC → 사업 지속
P<AVC → 사업 중단
-조업중단점은 AVC의 최하점이 됨
-단기 공급곡선(S)는 AVC위에 있는 MC와 같음
-장기:새로운 기업의 시장 진출입이 가능한 기간
-단기적으로 초과 이윤 발생 → 신규 기업 진입 → 가격 하락 → 이윤 감소 → 정상 이윤(균형)
-장기균형조건: P = MC = AC
-장기공급곡선은 수평으로 나타남
<독점시장과 독점적 경쟁시장>
-독점시장:생산자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시장
-가격 설정자:원하는 가격을 설정할 수 있는 기업
-진입장벽 형성 조건
①생산요소의 독점
②정부에 의한 독점(특허권, 저작권, 자격증제 등)
③규모의 경제(철도, 수도, 전기, 가스 등)
-규모의 경제:기업의 규모가 커지고 그에 따라 생산량이 증가할 때 단위당 비용(AC)이 감소하는 현상
-자연독점:규모의 경제로 인해 규모가 가장 큰 기업이 전체 생산을 독점하는 것(현대기아차 등)
-독점기업이 직면하는 수요곡선:시장수요곡선
-독점시장에서 MR < P → 우하향
-완전경쟁시장의 균형생산량 > 독점시장의 균형생산량
완전경쟁시장의 균형가격 < 독점시장의 균형가격
-독점적 경쟁시장:완전경쟁시장의 특징과 독점시장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시장
①다수의 공급자:다수의 기업이 같은 소비자 집단을 대상으로 경쟁
②제품 차별화:각 기업은 경쟁기업과 차별화된 재화를 생산(우상향의 수요곡선)
③자유로운 시장 진출입
-독점적 경쟁시장이 직면하는 수요곡선은 기업이 생산하는 재화에 대한 수요곡선임
-단기균형:이윤극대화 생산량에서 P가 AC보다 높으면 초과이윤이 발생
장기균형:초과이윤 → 신규 기업 진입 → 기존 기업의 수요 감소 → 이윤 감소 → 정상이윤
<노동시장>
-최종재:소비의 대상이 되는 재화(쌀, 옷, 소주 등)
-노동수요 도출시 가정 사항
①기업의 목표는 이윤극대화임(노동복지 등은 생각하지 않음)
②기업과 노동자는 가격수용자임
-노동의 한계생산(Marginal Product of Labor):노동 한 단위가 변함에 따라 변화하는 생산량의 크기
-한계생산체감:노동투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노동의 MR이 감소하는 것
-노동의 한계생산가치(Value of Marginal Product of Labor):노동투입량을 한 단위 변화시켰을 때 수입의 변화 크기(MPL x P)
-VMPL은 우하향의 기울기를 가짐(=노동수요곡선)
-노동 고용량 결정에 있어서 이윤극대화 조건: VMPL = W(임금)
*VMPL > P 이면 고용은 증가함
-노동 공급량의 크기는 노동시간으로 나타냄(총노동시간 = 노동자의 수 x 노동시간)
-예산제약선의 기울기:시간당 임금(우하향), 임금의 변화는 기울기의 변화
-무차별곡선:원점에 대해 볼록함(우하향하며 기울기 감소)
-임금 상승에 따른 대체효과:임금이 상승하면 여가 한 단위를 소비하는데 드는 비용이 증가하므로 여가의 수요량을 줄이고 노동의 공급을 늘려 소득이 증가하는 효과
-임금 상승에 따른 소득효과:임금이 상승하면 동일한 시간을 일하더라도 소득이 증가하므로 정상재인 여가의 수요량이 증가하는 효과(노동 공급량은 감소)
-후방굴절 노동공급곡선:임금이 어느 수준에 이르기까지 우상향하다 좌상향으로 변하는 특징을 가짐
-재화가격 상승 → 임금 상승, 노동 고용량 증가
MPL 증가 → 임금 상승, 노동 고용량 증가
노동수요자 증가 → 임금 상승, 노동 고용량 증가
노동공급자 수 증가 → 임금 하락, 노동 고용량 증가
노동 공급량의 증가 → 임금 하락, 노동 고용량 증가
<자본시장과 토지시장>
-자본(자본재):어떤 재화를 생산하기 위한 생산요소로 사용되는 재화
-가계:기업에 생산요소를 공급해서 소득을 얻어 일부는 소비하고 일부는 저축하는 경제주체
-금융시장:가계와 기업 간에 자금을 중개하는 시장(은행, 증권시장 등)
-유형자본:실체가 존재하는 자본 → 비주거/주거용 건축물, 내구성 장비, 완제품과 원자재 재고 등
무형자본:실제가 없는 자본 → 기업 브랜드 가치, 특허권, 저작권, 직원 교육 등
-사회간접자본(SOC):도로, 교량, 상하수도 등 정부가 생산해서 공급하는 자본
-저량(stock) 변수:어느 한 시점에서 그 크기가 측정되는 변수
유량(flow) 변수:일정 기간 동안에 그 크기가 측정되는 변수
-금융시장의 기능과 투자자금의 공급경로(교재참고)
-현재가치(PV)의 계산 방법
PVₙ=[PV/(1+r)ⁿ]₀ ₙ=기간 r=이자율
-자본의 한계생산가치(VMPL):자본 한 단위가 추가적으로 투입됨에 따라 증가하는 수입의 크기
-자본의 한계생산가치곡선은 우하향의 기울기를 가짐
-PVₙ과 자본의 수요가 만나는 점이 최적 투자 조건이 됨
-투자에 미치는 요인
①이자율:이자율이 상승하면 PV가 감소하므로 투자도 감소함(이자율과 투자는 역의 관계)
②예상수입:미래에 기대되는 예상수입이 감소하면 PV가 감소하므로 투자도 감소함
-토지의 특성
①용도의 다양성:생산요소가 되기도, 투자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도시지역, 농림지역, 관리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과 같은 용도지역으로 나뉘며, 도시지역은 주거, 상업, 공업, 녹지지역으로 나뉨
②비이동성:지리적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이동할 수 없음
③이질성:위치나 크기, 모양 등의 측면에서 서로 다름
④공급의 고정성:토지의 총량은 자연적으로 주어진 것이며 생산되지 않음
⑤영속성:영원히 존재함(따라서 토지의 가치를 측정하는 것이 매우 어려움)
-지대(rent):일정 기간 동안 토지를 사용하는 대가로 지불하는 금액(임대료 등)
가치(value):토지의 가치는 일정 기간 받는 지대를 현재가치화 한 것. 토지의 가치 = 토지의 가격(지가)
-토지의 VMPL:토지의 MP x 토지에서 생산되는 재화의 가격
-토지 또한 수확체감의 법칙이 적용되므로 한계생산가치곡선은 우하향하는 기울기를 가짐
-토지의 공급량은 MR과 MC가 일치하는 점에서 이루어 짐
-토지의 공급자 수가 많다면 시장에서 결정되는 지대가 토지 공급자의 MR이 됨
-토지매입비용과 개량공사비용 측면에서 토지 공급이 늘어날수록 MC도 증가함
기초미시경제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