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gin Call

Luke Avatar
Margin Call

2011, 감독 J.C Chandeor, 주연 케빈스테이시, 데미무어 2011 미국비평가협회 신인감독상, 독립영화 탑10. 뉴욕비평가 협회 데뷔작품상 이 영화는 2008년 9월 15일 리먼브라더스가 무너지기 전날 막판까지 회사를 되살려 보려는 임직원들의 마지막 노력을 그렸다. 레버리지, 손절매, 물타기 등 돈놓고 돈먹기 금융의 많은 기술들을 보여준다. 회장인 존은 말한다. “금융판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1등을 하거나 똑똑하거나 사기를 쳐야한다”. 그 들은 파생 상품을 파는 데 1등이었고, 기상천외한 상품을 만들 만큼 똑똑했다. 그리고 마지막에 폭탄을 지인들에게 돌리는 사기를 쳤다.

Margin Call은 선물 거래시 자기 자금 비율이 투자 이전에 정해 놓은 유지 증거금 비율보다 떨어졌을 때(당일 발생한 투자 손실로 인한) 추가 증거금을 요구하는 것이다. 즉, 빌려간 돈을 내 놓으라는 말이다. 마진콜을 받는다는 것은 금융거래가 막판에 몰렸다는 얘기다. 자신들의 자산보다 더 큰 손실을 앞둔 투자은행이 살아 남으려면, 자본을 더 확충해 충당금을 쌓던가 아니면 손실 자체를 줄여야 한다. 이 곳에는 돈 앞에 도덕성은 없다. 눈 잠시만 감으면 여생이 풍요로와진다면 누가 마다 하겠는가? 사람들이 본성적으로 쫓는다는 권위나 명예도 모두 돈이 있고 나서다. 돈이 주인이 되어 버린 세상. 내가 경제를 공부하겠다고 했을 때는 내 가족과 자산을 보호하려던 동기였으나, 공부를 할 수록 돈에 미쳐가는 세상에 정신 차리지 않으면 사기 당할 것 같다는 불안감에 휘말린다. 법도 국가도 지인도 지켜주지 못하는 덫이 수두룩하다. 이 금융자본주의 시대에서는 그 덫을 피하려 최선을 다하고, 그렇게 살다가 죽으면 유복한 인생인가 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 영화로, 한 투자은행이 위기의 전조를 감지하고 대응하는 24시간을 그린 영화입니다.

줄거리 요약

  1. 해고와 발견
    • 월가의 대형 투자은행에서 대규모 정리해고가 진행됩니다.
    • 리스크 관리 부서의 중견 직원 에릭 데일(스탠리 투치)이 해고되며, 떠나기 직전 젊은 애널리스트 피터 설리번(잭 퀸토)에게 중요한 파일을 넘겨줍니다.
    • 피터는 데이터를 분석한 끝에 은행이 보유한 자산(특히 서브프라임 모기지 관련 상품)이 극도로 위험한 상태이며, 곧 파산할 수도 있음을 발견합니다.
  2. 긴급 회의
    • 피터는 이를 상사인 윌 에머슨(폴 베타니)과 리스크 부서장 샘 로저스(케빈 스페이시)에게 보고합니다.
    • 한밤중 긴급 회의가 열리고, 은행의 상위 경영진(제러미 아이언스가 연기한 CEO 존 털드 포함)이 소집됩니다.
    • 은행은 자산이 거의 무가치해질 것임을 깨닫고, 이를 경쟁사와 고객들에게 빠르게 매도해야 한다는 결정을 내립니다.
  3. 도덕적 딜레마
    • 직원들은 비윤리적인 결정을 강요받습니다.
    • 샘 로저스는 고객을 속여 부실 자산을 떠넘기는 것에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만, 결국 회사의 명령을 따르게 됩니다.
    • 에릭 데일은 정보를 유출하려 하지만, 회사는 그를 돈으로 매수합니다.
  4. 위기의 시작
    • 다음 날 아침, 은행은 서브프라임 관련 상품을 헐값에 시장에 내놓으며 매도를 시작합니다.
    • 이로 인해 금융시장이 요동치기 시작하고, 금융위기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 됩니다.
    • 직원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이 사태를 받아들이며, 금융 세계의 냉혹함을 실감합니다.

주요 메시지

  • 금융위기는 한순간의 사고가 아니라, 탐욕과 무책임이 축적된 결과입니다.
  • 월가의 금융인들은 도덕적 고민을 하지만, 결국 시스템의 논리에 순응할 수밖에 없습니다.
  • 개인의 윤리와 회사의 이익 사이에서 갈등하는 모습을 통해 금융 시스템의 구조적 문제를 보여줍니다.

Margin Call은 스릴러적인 긴장감을 유지하면서도, 금융위기의 본질과 월가 내부의 현실을 섬세하게 묘사한 영화로 평가받습니다.

4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