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트롤러. Adjustment Bureau

Luke Avatar
컨트롤러. Adjustment Bureau

2011. George Nolfi 감독. 지적이면서도 사람 냄새나는 맥데이먼과, 느낌과 감정을 진솔하게 표현해내는 에밀리블런트의 러브스토리가 SF 플랫폼 위에 얹혀졌다. 맥데이먼의 바른 생활 이미지와 당당한 정치 성향이 실제 미국의 미래 대통령 후보라 해도 손색이 없었고, 영화의 러브스토리 역시 맥데이먼의 실제 결혼스토리처럼 감성과 낭만으로 넘쳐 흘렀다.

하버드 영문과를 중퇴하고 굿윌헌팅의 실제 주인공처럼 영화같은 인생을 살아가고 있는 맥. 고등학교 때 이웃인 저명한 진보사학가 하워드진의 영향으로 사회와 정치에 거리낌 없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해 왔다. 그래선지 영화의 주인공이 더욱 진실스러워 보인다.

이 영화의 또 하나의 멋은, 문을 열 때 마다 불쑥 불쑥 펼쳐지는 뉴욕시 이곳저곳의 아름다운 파노라마.  특히, 비와 물과 함께 낭만적으로.

원작의 작가는 필립딕(1928~1982). 70년대에 이런 상상력으로 소설을 썼다는게 놀라운데, 게다가 영화화한 그의 소설만해도, 블레이드러너, 마이너리티리포트, 토탈리콜, 페이첵 등이 있다. 보고 나서 기 많이 죽는 영화다.

줄거리 요약

유망한 정치인 데이빗 노리스(맷 데이먼)는 운명적인 만남을 통해 현대무용가 엘리스 셀러스(에밀리 블런트)와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그는 곧 신비로운 남성들(‘컨트롤러’)이 자신과 엘리스의 운명을 조정하고 있으며, 두 사람이 함께하는 것은 계획에 어긋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 ‘컨트롤러’는 인간의 자유의지를 제한하고 정해진 계획대로 역사를 이끄는 초자연적인 존재들이다. 그들은 데이빗이 정치적 성공을 이루기 위해선 엘리스와 함께할 수 없다고 경고하며, 두 사람의 관계를 강제로 단절시키려 한다.

하지만 데이빗은 운명을 거스르기로 결심하고 엘리스와 함께 도망친다. 뉴욕 곳곳에 숨겨진 ‘문’을 통해 도망치며 컨트롤러들의 추적을 피하려 하지만, 결국 운명의 선택 앞에 서게 된다.

주제와 메시지

  • 자유의지 vs. 운명: 인간은 정해진 운명을 따라야 하는가, 아니면 스스로 개척할 수 있는가?
  • 사랑과 희생: 데이빗과 엘리스는 서로를 위해 큰 희생을 감수하며 운명에 맞선다.
  • 권력과 통제: 컨트롤러들은 세상을 조정하지만, 결국 인간이 자신의 길을 결정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국 데이빗과 엘리스의 강한 의지가 운명을 바꾸는 계기가 되고, 컨트롤러들은 그들의 선택을 존중하게 된다. 영화는 인간의 자유의지와 사랑의 힘을 강조하며 마무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