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번째 이야기: 223번 경찰관과 금발의 여인
경찰 223(금성무)은 연인에게 이별 통보를 받은 후 상실감에 빠진다. 이별을 받아들이기 어려워 그는 연인과의 추억을 지우지 못한 채, 유통기한이 임박한 파인애플 통조림을 매일 사 모으며 연인을 기다린다.
그러던 중 그는 금발의 가발을 쓴 의문의 여인(임청하)을 만나게 된다. 이 여인은 마약 밀매 조직과 얽혀 위험한 일을 하고 있으며, 삶이 혼란스럽다.
이 두 사람은 우연히 만나 하룻밤을 보낸다. 이 만남은 서로에게 특별한 영향을 남기지만, 금발의 여인은 다음 날 사라지고, 경찰 223은 그녀와의 만남을 계기로 감정적으로 성장한다.
두 번째 이야기: 663번 경찰관과 패스트푸드점 직원
경찰 663(양조위)은 연인인 승무원에게 이별 통보를 받은 뒤 마음의 상처를 안고 살아간다. 그는 이별의 아픔을 물건들과 대화하며 묘하게 해소하려 한다.
그러던 중, 그가 자주 가는 패스트푸드점 직원 페이(왕페이)가 그에게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다. 페이는 663의 집 열쇠를 몰래 가져가 그의 집을 청소하거나 물건을 정리하며 조용히 그의 삶에 들어오려 한다.
663은 처음에는 그녀의 존재를 알아채지 못하지만, 점차 페이와의 관계를 통해 새로운 감정을 느끼고 자신의 아픔을 극복해 나간다.
특징과 매력
- 감각적인 연출: 왕가위 감독의 시적인 대사, 독특한 촬영 기법, 화려한 색감이 돋보인다.
- 음악: 왕페이의 캐릭터와 어우러지는 The Mamas & the Papas의 “California Dreamin'”은 영화의 대표적인 OST로 사랑받는다.
- 고독과 사랑: 영화는 현대 도시인의 외로움과 사랑에 대한 갈망을 섬세하게 그린다.
홍콩 반환(1997년)과 영화 속 정서
영화가 만들어질 당시, 홍콩은 중국 반환을 앞두고 있었다. 1984년에 체결된 중영공동선언에 따라 홍콩은 1997년 7월 1일부로 중국에 반환될 예정이었고, 이로 인해 홍콩 사람들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변화에 대한 불안감을 크게 느끼고 있었다.
이런 상황은 영화의 전반적인 톤과 인물들의 심리적 상태에서 드러난다.
미래에 대한 불안과 영화 속 우울함
- 도시의 고독과 무력감
영화 속 인물들은 번잡한 도시 홍콩에서 살고 있지만, 모두 깊은 고독에 빠져 있다.- 223번 경찰관과 663번 경찰관은 둘 다 관계의 단절과 상실감을 겪으며 삶의 방향을 잃은 듯 보인다.
- 이들은 빠르게 변하는 도시 환경 속에서 자신을 잃어버린 채 일상에 머물러 있으며, 이는 당시 홍콩 시민들이 반환 이후 변화할 자신의 정체성과 미래를 염려하던 마음과 맞닿아 있다.
- 사라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
영화는 끊임없이 사라짐과 이별을 다룬다.- 223번 경찰관은 연인의 떠남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페이 역시 663번 경찰관과의 관계에서 떠날 것을 암시하며 끝을 맺는다.
- 이 같은 주제는 반환 후 홍콩의 독립적인 정체성이 점점 희미해질 것이라는 사회적 두려움을 은유적으로 표현한다.
- 무작위성과 우연성
영화 속 이야기는 인과적 연결보다는 우연과 순간의 만남으로 전개된다. 이는 미래에 대한 통제 불가능성과 불확실성을 상징하며, 당시 홍콩 사람들이 느꼈던 막연한 불안과 혼란을 반영한다.
감독: Wong Kar-wai(王家衛)
주연: Cop 663 (Tony Leung, 梁朝偉), Faye (Faye Wong, 王菲), Cop 223(Takeshi Kaneshiro, 金城武), Blonde lady(Brigitte Lin, 林青霞)
각본: Wong Kar-wai(王家衛)
음악: Frankie Chan, Roel A. García
예산/흥행: $600K / N/A
영화에 담긴 정서와 주제는 당시 홍콩 사회가 느꼈던 미래에 대한 불안과 불확실성을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영화는 감정적인 깊이와 독특한 미학으로 지금까지도 많은 사랑을 받으며, 홍콩 영화의 전성기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