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실존주의자들의 인간의 문제와 극복 방법, 극복, 그리고 비판

Luke Avatar
각 실존주의자들의 인간의 문제와 극복 방법, 극복, 그리고 비판

실존주의 철학자들은 모두 인간 실존의 한계와 그로 인한 고통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하면서도, 각각 독특한 방식으로 이를 이해하고 극복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그 해결책이 모두에게 적용될 수 있는 보편적인 것은 아니었어서 특정한 한계와 비판을 받는다.

  1. 키에르케고르( Søren Aabye Kierkegaard, 1813~1855)절망 신앙
    • 저서: 공포와 전율(Fear and Trembling, 두려움과 떨림, 1843), 죽음에 이르는 병 (The Sickness Unto Death, 1849)   
    • 인간의 문제: 키에르케고르는 절망을 인간의 불완전함과 참된 자아를 실현하지 못한 상태로 보았다. 이는 자기 자신과 신과의 관계에서 벗어남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 극복 방법: 키에르케고르는 ‘신앙’을 통해 절망을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신에 대한 주관적 결단과 헌신을 통해 인간은 참된 자아를 실현하고, 신과의 올바른 관계를 회복할 수 있다고 하였다.
    • 비판
      • 주관주의: 키에르케고르의 신앙을 통한 절망 극복은 주관적 결단에 의존하며, 이는 객관적 검증이 어렵다는 비판을 받는다. 신앙의 도약이 비합리적이고 개인적인 경험에 지나치게 의존한다는 점에서 비판받는다.
      • 독단적 신앙: 그의 신앙 중심적 접근은 비신앙인들에게는 의미가 없으며, 종교적 다양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다. 모든 인간에게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보편적인 해결책이 아니라고 여겨질 수 있다.
          
  2. 도스토옙스키(Fyodor Dostoevsky, 1821~1881)의 도덕적 혼란신앙
    • 저서: “죄와 벌”(1866),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1880)   
    • 인간의 문제: 도스토옙스키는 인간이 내적 갈등도덕적 혼란 속에서 고통받는다고 보았다. 이는 특히 그의 소설에서 강하게 드러난다.
    • 극복 방법:
      • 신앙과 회개: 도스토옙스키는 신앙과 회개를 통해 인간이 자신의 죄와 갈등을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그의 소설 속 인물들의 변화를 통해 잘 드러난다.
      • 사랑과 희생: 인간은 사랑과 희생을 통해 도덕적 혼란을 극복하고, 진정한 인간성을 회복할 수 있다.
    • 비판:
      • 비현실적 해결책: 도스토옙스키의 신앙과 회개를 통한 극복 방법은 비현실적이고, 모든 사람에게 적용될 수 없다는 비판이 있다.
      • 과도한 도덕주의: 그의 철학은 지나치게 도덕적이며, 인간의 복잡한 심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다.
          
  3.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1900)의 허무 초인
    • 저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885), “선악의 저편”(1886), “도덕의 계보”(1887)
    • 인간의 문제: 니체는 전통적인 가치와 도덕이 무너짐으로써 발생하는 허무(니힐리즘)를 문제로 보았다. 기존의 종교와 도덕이 제공하던 의미가 사라지면서 인간은 삶의 목적과 의미를 잃게 된다.
    • 극복 방법: 니체는 초인(Übermensch)을 제안했다. 초인은 자기 자신의 가치를 창조하고, 자신의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존재이다. 기존의 도덕과 가치를 초월하여 자신의 삶을 예술작품처럼 만들어 가는 것이 니체의 해결책이다.
    • 비판: 니체의 허무주의는 궁극적으로 어떤 긍정적인 대안도 제시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있다. 그의 초인(Übermensch) 개념은 이상적이지만, 현실적 적용이 어렵고 모호하다는 지적을 받는다. 초인 개념은 추상적이고, 엘리트주의나치즘을 옹호할 수 있다. 인간 존재의 근본 동력으로 본 ‘힘에의 의지‘가 인간 본성을 지나치게 단순화하고, 인간행동의 다양한 동기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 또한, 철학이 체계적이지 않고 논리적 일관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있다. 공동체와의 관계를 경시하고 개인의 자율성만 지나치게 강조했다. 지나치게 기독교적 도덕과 전통적 가치 체계를 비판했고, 여성혐오적 요소가 있었고, 글이 모호하여 왜곡될 소지가 많다.
        
  4. 카프카 (Franz Kafka, 1883~1924)의 고독,소외,부조리와 저항
    • 저서: ” 변신”(1915), “심판”(1925, 사후 출판), “성” (1926, 사후 출판)
    • 인간의 문제:
      • 고독과 소외: 카프카의 작품에서는 주인공들이 사회와의 단절, 고립,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에서의 소외를 깊이 경험한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 개인이 겪는 소외와 고독을 반영한다.
      • 부조리와 불합리: 카프카는 인간이 직면하는 세계의 불합리성과 부조리를 묘사한다. 그의 작품에서 주인공들은 이해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하고, 그 속에서 무력감을 느낀다.
      • 관료주의와 억압: 그의 작품, 특히 “변신”, “심판”, “성” 등에서는 비인간적이고 억압적인 관료주의 시스템의 권력이 인간을 괴롭히고, 그 안에서 인간은 무력하고 절망적인 존재로 그려진다.
    • 극복 방법:
      • 저항과 반항: 카프카의 작품에서는 명확한 극복 방법이 제시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주인공들은 종종 상황에 저항하거나 반항하려 하지만, 이는 대개 실패로 끝난다.
      • 자아 인식: 일부 해석에서는 카프카의 작품이 인간이 자신의 고립과 절망을 인식하고, 그 안에서 자신의 존재를 자각하는 과정을 보여준다고 본다.  이는 개인이 자신의 한계를 받아들이고, 그 속에서 의미를 찾으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
    •  비판
      • 비관주의: 카프카의 작품은 종종 극도로 비관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그의 이야기들은 종종 무력감과 절망으로 끝나며, 이는 독자에게 깊은 좌절감을 안겨준다.
      • 구체적인 해결책의 부재: 카프카의 작품에서는 명확한 해결책이나 긍정적인 극복 방법이 제시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는 독자에게 혼란을 주고,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는다.
      • 추상성과 모호성: 그의 글은 종종 추상적이고 모호한 상징과 비유를 사용하여, 명확한 메시지를 이해하기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 이는 작품의 해석에 다양한 견해를 낳게 하지만, 동시에 혼란을 초래하기도 한다. 
          
  5.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1889~1976)의 존재 망각 자각
    • 저서: “존재와 시간” (1927)
    • 인간의 문제: 존재 망각으로 하이데거는 현대인이 존재의 근본적 의미를 잊고, 일상적인 사물과 사건들에 매몰되어 살아간다고 보았다. 또한, ‘있음’의 문제로  하이데거는 인간이 ‘존재(Sein)’의 근본적인 질문을 잃어버리고, ‘있음(Dasein)’의 본질적 문제를 간과한다고 주장했다.
    • 극복 방법: 인간은 ‘존재의 물음’을 되찾고, 자신의 ‘있음’을 자각해야 한다. 이는 ‘있음의 현존’을 통해 이루어지며, 자신이 ‘세계-내-존재’임을 자각하는 것이다. 또한, 하이데거는 인간이 자신의 ‘진정성’을 회복하고, ‘있음’에 대한 자각을 통해 진정한 존재의 의미를 찾을 것을 제안했다.
    • 비판
      • 난해함과 모호성: 하이데거의 철학은 난해하고 모호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그의 언어와 개념이 너무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다.
      • 정치적 논란: 하이데거의 나치 당원 이력과 정치적 성향에 대한 비판이 있다. 이는 그의 철학적 신뢰성을 의심하게 만들었다.
          
  6. 사르트르(J.P. Sartre, 1905~1980)의 불안자유, 책임, 선택
    • 저서: “구토”(1938), “존재와 무”(1943),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1946)
    • 인간의 문제: 사르트르는 인간이 완전한 자유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서 오는 ‘불안’을 강조했다. 인간은 자신의 선택에 책임을 져야 하며, 이는 무거운 존재의 책임을 수반한다. 이로 인해 인간은 불안과 고통을 경험하게 된다.
    • 극복 방법: 사르트르는 자기 기만을 피하고 진정한 자유를 받아들이는 태도를 제시했다. 인간은 자신의 자유와 책임을 수용하고, 스스로의 선택을 통해 삶의 의미를 창조해야 한다. 진정한 자유의 수용은 불안을 극복하는 길이다.
    • 비판:
      • 과도한 자유 강조: 사르트르의 절대적 자유 개념은 현실적으로 실현하기 어렵고, 과도한 책임을 개인에게 부과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인간이 완전한 자유를 갖는다는 전제는 실제 삶의 제약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다.
      •  자기기만: 사르트르의 사상은 자기기만을 피하려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인간이 자신의 동기와 행동을 완전히 투명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전제를 담고 있어 비현실적이라는 비판이 있다. 
      • 윤리적 방향 부족: 사르트르의 자유와 선택을 강조하는 사상은 구체적인 윤리적 방향이나 가이드를 제공하지 않아서, 개인이 혼란에 빠질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7. 카뮈(Albert Camus, 1885~1914)의 부조리반항
    • 저서: “이방인”(1942), “시지프 신화”(1942), “반항하는 인간”(1951)
    • 인간의 문제: 카뮈는 인간이 의미를 찾으려는 시도와 무의미한 세계 사이의 괴리를 ‘부조리’로 보았다. 이는 인간 존재의 근본적 문제로 제시된다.
    • 극복 방법:
      • 반항: 카뮈는 부조리를 인정하고, 그 속에서 반항적인 태도를 유지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이는 삶의 무의미를 받아들이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 삶의 행위: 카뮈는 삶 자체가 의미를 찾는 행위라고 주장한다. 인간은 살아가는 과정에서 스스로 의미를 만들어 가야한다.
    • 비판:
      • 비관주의: 카뮈의 철학은 근본적으로 비관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이는 궁극적인 해결책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 행동 지침 부족: 카뮈의 철학은 구체적인 행동 지침을 제공하지 않아, 실천적인 면에서 모호하고 추상적이라는 비판이 있다.
          
  8. 마르셀(Gabriel Marcel, 1889~1973)의 소외 신앙
    • 저서: “존재와 소유”(1935), “신앙과 현실”(1945)
    • 인간의 문제: 마르셀은 현대 사회에서 인간이 타인과의 관계에서 소외되고 단절된다고 보았다. 이는 기술 발전과 물질주의에 의해 심화된다.
    • 극복방법:
      • 참된 만남과 사랑: 마르셀은 인간이 서로의 존재를 인정하고 사랑을 통해 진정한 관계를 맺을 때, 소외와 단절을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신앙과 초월적 존재: 마르셀은 신앙을 통해 초월적 존재와의 관계를 맺음으로써, 인간이 자신의 존재의 근본적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고 보았다.
    • 비판:
      • 종교적 접근의 한계: 마르셀의 종교적 접근이 비신앙인들에게는 적용되기 어렵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그의 철학은 특정 신앙 체계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 구체적 방안 부족: 마르셀의 철학은 구체적인 사회적, 정치적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있다.
          
  9. 야스퍼스(Karl Jaspers, 1883~1969)의 한계 상황 초월자
    • 저서: “철학”(1932), “존재와 초월”(1937)
    • 인간의 문제: 야스퍼스는 인간이 죽음, 고통, 죄책감 등과 같은 ‘한계 상황’에 직면할 때, 자신의 존재의 근본적 한계를 깨닫게 된다고 보았다.
    • 극복:
      • 초월자와의 만남: 야스퍼스는 ‘초월자’와의 만남을 통해 인간이 자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종교적, 영적 경험을 통해 이루어진다.
      • 실존적 소통: 진정한 소통을 통해 인간은 서로의 실존적 진리를 발견하고, 자신의 한계를 초월할 수 있다.
    • 비판:
      • 초월 개념의 모호성: 야스퍼스의 초월 개념이 명확하지 않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는 그의 철학이 종교적 신앙과 과학적 합리성 사이에서 혼란을 초래한다는 지적이다.
      • 추상성: 그의 철학은 너무 추상적이고,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하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