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하사탕

Luke Avatar
박하사탕

1. 1999년, 남자의 절규

영화는 1999년 봄, 한 폐쇄된 철로에서 시작한다. 주인공 김영호는 동창회에 참석하기 위해 찾아온 자리에서 갑자기 고함을 지르며 기찻길로 올라간다. “나는 돌아가고 싶다!”라고 외치며 다가오는 기차 앞에 몸을 던진다. 이 장면에서부터 영화는 영호의 인생을 5개의 장으로 나눠 역순으로 펼쳐지며, 그의 삶 속 상처와 고통을 하나씩 드러낸다.

    “나 다시 돌아갈래!”

2. 1994년, 붕괴된 삶

영호는 사업에 실패하고 아내와도 이혼하며 삶이 무너진 상태였다. 그는 폭력적이고 냉소적인 모습으로 친구들과의 관계도 끊어지고 고립된 삶을 살고 있었다. 그의 인생에는 이미 희망이 사라져 있었다.

3. 1987년, 경찰로서의 잔혹함

1987년, 영호는 경찰관이었다. 그는 민주화 운동이 한창이던 당시, 시위대를 진압하는 데 앞장섰고, 고문을 일삼았다. 그 과정에서 인간성을 잃고 점점 더 폭력적이고 냉혹한 사람이 되어갔다. 영호는 그 시절 고문 중 실수로 한 여성을 죽이게 되는 비극을 겪고, 이는 그의 인생에서 지울 수 없는 트라우마로 남는다.

    “난 나쁜 사람이 아니야!”

4. 1984년, 군대와 상처

영호는 군 복무 중 한참 어린 나이에 비극적인 경험을 했다. 비무장지대(DMZ)에서의 군 생활은 그에게 커다란 심리적 상처를 남겼고, 이는 그가 이후 살아가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쳤다.

5. 1979년, 첫사랑의 기억

영화는 영호의 20대 초반으로 돌아가, 그의 순수하고 행복했던 시절을 보여준다. 그는 첫사랑 순임과 함께 순수하고 따뜻한 순간들을 나누며 꿈을 꾸던 시절이었다.
그는 순임에게 박하사탕을 건네며 순수한 사랑을 표현했고, 그 시절의 박하사탕은 그의 인생에서 유일하게 따뜻하고 행복했던 기억이었다.

6. 1979년 봄, 철길에서의 시작

영화는 마지막 장면에서 다시 철길로 돌아간다. 아직 순수하고 희망에 차 있던 어린 영호는 철길에서 친구들과 어울리며 꿈을 꾸던 시절이었다. 박하사탕을 좋아하던 순임과의 사랑도 시작되었고, 그는 그때만큼은 행복과 자유를 느꼈다. 하지만 이 시점은 앞으로의 삶에서 겪을 비극과 고통을 암시하며, 관객들에게 씁쓸한 여운을 남긴다.

    “여기서 행복했어요.”

    대사 하나하나가 단순한 대화가 아니라 주인공의 내면과 시대적 비극을 함축적으로 드러낸다. 특히 “나 다시 돌아갈래!”는 영화 전반의 메시지를 상징하며, 영호의 삶이 어떻게 순수에서 절망으로 변해갔는지를 강조한다.

주제와 메시지

  • 개인과 시대의 상처: 김영호의 삶은 1980년대 한국 사회의 격동기를 반영하며, 한 개인의 파멸이 시대적 비극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보여준다.
  • 순수의 상실: 박하사탕은 영호의 순수했던 시절을 상징하며, 이후 그가 잃어버린 인간성과 행복을 상기시킨다.
  • 삶의 역설: 영화는 역순 구조를 통해 과거의 순수함과 현재의 파멸을 대비시키며, 시간이 흘러도 되돌릴 수 없는 삶의 본질을 강조한다.

 

감독: Lee Chang-dong

주연: Yong-ho (Sol Kyung-gu)

각본: Lee Chang-dong

음악: Lee Jae-jin

예산/흥행: $1M / N/A

 

《박하사탕》은 개인의 고통을 시대적 맥락 속에서 풀어내며, 인간의 상처와 삶의 본질을 탐구한 한국 영화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