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의에 몰두하라-카네기

Luke Avatar
대의에 몰두하라-카네기

우리가 적을 용서하고 잊기 위해 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우리 자신과는 비교조차 할 수 없는 아주 큰 대의에 몰두하는 것이다 – 카네기
# One sure way to forgive and forget our enemies is to become absorbed in some cause infinitely bigger than ourselves.
Then, the insults and the enmities we encounter won’t matter because we will be oblivious of everything but our cause.
# 自分の敵をゆるし、忘れてしまう確実な方法は、自分自身よりも限りなく大きな主義主張に夢中になることだ。そうすれば、私たちが出くわす屈辱や敵意など問題ではなくなる。なぜなら、私たちは主義主張以外のものはすべて意に介さなくなるからだ。

자기관리론

[1부] 걱정에 대해 알아야 할 기본 지식

1장. 오늘을 충실하게 살아가라

: 대형 여객선에 서로 격리된 방수 구역이 있듯이, 안전하게 항해하려면 우리는 ‘어제와 내일을 차단하는 오늘의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 내일을 맞이하는 최선의 방법은 지성과 열정이 집중해 오늘 해야 할 일을 잘하는 데 있다. 당연히 내일에 대해 생각하고 계획하고 대비해야 한다. 하지만 걱정해서는 안된다. 전쟁 중 지휘관들은 내일을 ‘계획’한다. 하지만 걱정할 만한 여유는 없다. 한 번에 모래알 하나, 한 번에 하나의 일을 해라. 아무리 무거운 짐을 진 사람이라도 밤이 오기 전까지라면 견딜 수 있다. 누구나 잠들 때까지, 하루 동안은 살아낼 수 있다. 현명한 사람에게는 하루하루가 새로운 삶이다. 한 번에 하루씩만 산다면 그리 어려울 게 없다.

※ 매일이 리셋된다고 생각하고 각 하루를 독립적인 날로 인식하자. 어제의 연장선이 아닌, 새로운 날이 시작됨을 상기하자. 그리고 그것을 떠올릴 문구나 장치를 아침에 눈에 잘 보이는 곳에 두자.

2장. 걱정을 해결해줄 마법의 공식

: 윌리스 캐리어가 창안한 걱정 해결 방법 3단계. 1단계, 두려움 없이 있는 상황을 그대로 분석하고, 실패가 낳을 수 있는 최악의 결과를 생각한다. 2단계, 일어날 수 있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본 후, 어쩔 수 없다면 받아들이기로 한다. 3단계, 이미 마음속으로 받아들인 최악의 상황을 개선해보고자 침착하게 시간과 노력을 기울인다.

최악을 받아들이면 더 이상 잃을 것이 없다. 그러면 얻을 수 있는 것만 남는다.

※ 중요한 것은 2단계를 거친 후 3단계로 나아가는 것이다. 나는 지금껏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였지만 그것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고, 받아들이기로 마음먹지 않으니 개선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았다. 그 결과 ‘최악의 경험’과 격렬한 싸움에 몰두하고, 결국 아무런 행동도 하지 않은 채 생각이 고착된 채로 있었다. 최악의 상황을 생각하고, 그것을 받아들이기로 마음먹어야 한다. 그리고나서 개선점을 찾는다. 그러면 올라갈 일밖에 남지 않는다.

3장. 걱정이 삶에 미치는 영향

: 걱정은 실제로 신체적인 증상들, 심장병이나 위궤양, 고혈압 등은 물론 관절염이나 갑상선질환, 심지어는 충치까지 유발할 수 있다.

[2부] 걱정을 분석하는 기본 기술

1장.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법

: 걱정거리를 다루기 위해서는 1.사실을 파악하고 2.사실을 분석하고 3.결단을 내리고 실천에 옮겨라. 세상 걱정의 절반은 결정을 내리는 데 기초가 될만한 지식이 부족한 상태에서 결정하려고 하기 때문에 생긴다.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사실을 파악하는 데 몰두하면, 걱정 따위는 지식이라는 빛 앞에서 증발하기 마련이다. 사실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는 방법이 두가지 있는데 첫째, 사실을 파악할 때 내가 아니라 다른 누군가를 위해 정보를 모으는 중이라고 가정하고 둘째, 때로는 상대편 변호사의 입장이 되어 내게 불리한 사실을 모아본다. 보통은 두 정보의 양극단 사이 어느 지점에 진실이 있다. 사실을 파악한 후에는 종이에 사실을 글로 적으면 더 쉽게 분석할 수 있다. 내가 걱정하는 문제를 정확하게 써보고, 내가 무슨 일을 할 수 있는지 써보고, 무엇을 할지 결정하고, 결정한 대로 즉시 실행하는 4단계를 거친다. 실행하지 않는다면 조사나 분석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 사실에 입각해 신중한 결정을 내렸다면 실천에 옮겨라. 직면한 문제를 필요 이상으로 생각하다 보면 혼란과 걱정에 빠지기 마련이다. 다시 생각해보려고 멈춰 서지 말고, 주저하거나 걱정하거나 발걸음을 돌리지 마라. 자기의심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하라.

2장. 직업상의 걱정을 반으로 줄이는 법

: 1.무엇이 문제인가? 직면한 문제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써본다. 2.문제의 원인은 무엇인가? 문제의 근원이 되는 상황을 명확히 파악한다. 3.문제를 해결할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4.당신은 어떤 해결 방안을 제시할 것인가?

[3부] 걱정이 나를 망치기 전에 걱정하는 습관을 없애는 법

1장. 마음속에서 걱정을 몰아내는 법

: 늘 바쁘게 살라. 걱정이 많은 사람들은 정말 속에 시들어가지 않도록 행동에 몰두해야 한다.

2장. 딱정벌레 때문에 쓰러지지 말라.

: 우리는 종종 인생의 커다란 재난에는 용감히 맞서지만 사소한 문제들, ‘성가신 골칫거리들’ 앞에서는 쉽게 쓰러진다. 무시하고 잊어야 할 사소한 일로 속상해하지 말라. ‘사소한 일에 신경쓰기에는 인생이 너무 짧다’는 사실을 기억하라.

3장. 온갖 걱정을 떨쳐버리는 법

: 스스로에게 자문하라. “평균의 법칙을 따르면 내가 걱정하고 있는 일이 일어날 가능성은 얼마나 되는가?”

4장. 피할 수 없는 일을 대하는 법

: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면 우리는 아무리 커다란 재난과 불행을 만나더라도 견뎌낼 수 있다. 모든 역경에 무턱대로 굴복하라는 말이 아니다. 상황을 이겨낼 기회가 있는 한 우리는 싸워야 한다. 하지만 상식적으로 볼 때, 이미 어떤 일이 벌어졌고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이라면, 안 될 일을 가지고 애쓰지 말아야 한다. 불가피한 일과 싸우면서 동시에 새로운 삶을 창조해갈 만큼 감정과 활력이 넘치는 사람은 세상 어디에도 없다.

5장. 걱정을 ‘손절매’ 하라

: 무언가에 매기는 값은 당장 혹은 결국에 그것과 바꾸어야 할 삶의 분량을 말하는 것이다. 인간의 불행이란 어떤 것의 가치를 제대로 판단하지 못한다는 것에서 비롯된다. 진정한 마음의 평화를 얻는 비결은 올바른 가치 판단이며, 우리의 삶이라는 관점에서 어떤 것이 가치가 있는지를 기준으로 삼는다면 걱정의 절반이 즉시 사라지리라. 그러니 살면서 좋지 않은 일에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기분이 들 때, 잠시 멈추고 자신에게 세 가지 질문을 해보라. 1.내가 걱정하는 일이 나에게 정말 중요한 일인가? 2.어느 시점에서 나는 이 걱정을 손절매 하고 잊어야 할까? 3.이 일에 내가 지불해야 할 대가는 정확히 얼마인가? 이미 가치에 비해 많은 대가를 치른 것은 아닌가?

※이 부분은 마인드 관리를 통해서 해결되기도 하지만, 상황을 더 좋게 바꿈으로써 해결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우리 어머니는 어느 날 5만원을 잃고 그 아쉬움에 잠을 설친 적이 있다. 그런데 만약 5만원정도 쿨하게 잊어버릴 수 있는 경제적 상황이라면 잠을 설치지 않았을 것이다. 결국 마인드도 중요하지만 내 상황을 더 낫게 만드는 것도 정말 중요하다.

6장. 톱밥을 다시 켜지 말라

: 우리는 일어난 일의 ‘결과를 바꾸는’ 무언가를 할 수 있지만 그때 일어난 일 자체를 바꿀 수는 없다. 과거를 건설적인 방향으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은 단 하나뿐이다. 잘못을 침착하게 분석하고 교훈을 얻은 다음 잊어버리는 것이다.

※내가 가장 잘 못하는 부분이고, 그렇기에 나에게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이미 벌어진 일, 이미 지나간 일에 대해 지나친 비용을 지불하지 말아야 한다. 그런데 나는 끊임없이 지나간 일을 반추하며 후회하곤 한다. 엎질러진 우유 때문에 울지 마라는 격언과 같이, 이미 지나간 일은 어쩔 수 없다. 그것을 받아들이는 연습을 해야한다.

[4부] 평화와 행복을 부르는 7가지 자세

1장. 삶을 바꿔줄 한 문장

: 당신에게 평화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것은 당신 자신밖에 없다. 사람은 일어나는 일에 상처받는 게 아니라 일어나는 일에 대한 스스로의 생각에 상처를 받는다. 그런데 일어나는 일에 대한 우리의 ‘생각’은 전적으로 우리에게 달려있다. 또, 행동은 감정을 따르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행동과 감정이 함께 간다. 따라서 의지로 직접 통제할 수 있는 행동을 조절한다면 의지에 통제되지 않는 감정도 간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진정한 행복에서 우러나오는 행동을 억지로라도 하다 보면 우울하게 지내는 것이 ‘신체적으로 불가능’해진다.

※상황이 아니라 나의 생각이 나를 결정한다. 문제에 대해 걱정이 아닌 관심을 갖고, 긍정적으로 생각하자. 그리고 그것이 잘 안되면 억지로라도 행복한 사람, 긍정적인 사람, 자신감 넘치는 사람처럼 행동하자. 감정도 따라 올 것이다. 어렵더라도 계속 연습하고 해야한다.

2장. 지혜롭게 보복하는 법

: 적을 증오할 때 우리는 적에게 우리의 지배권을 넘겨주게 된다. 잠,식욕,혈압,건강,행복은 적의 손 안에 들어간다. 우리가 적 때문에 걱정하고, 자책하고, 앙심을 품고 있다는 것을 알면 적들은 기뻐 춤을 출 것이다. 앙갚음은 남보다 당신 자신을 더 해치기 때문이다. 화낼 줄 모르는 사람은 바보지만, 화내지 않는 사람은 현명하다. 우리가 좋아하지 않는 사람을 생각하는 데 단 1분도 낭비하지 말자. 적을 용서하고 잊어버리는 확실한 방법 하나는 자신의 개인적인 관심사보다 훨씬 더 큰 대의에 몰두하는 것이다.

3장. 감사할 줄 모르는 사람에게 상처받지 않는 법

: 사람들이 감사를 잊는 일은 너무도 당연하다. 따라서 누군가 내게 감사하기를 기대하며 살아간다면, 앞으로 상심할 일이 많을 것이다. 아예 감사를 기대하지 않는다면, 어쩌다가 감사하다는 말을 들었을 때 즐겁고 놀라운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물론 감사하다는 말을 듣지 못한다 해도 개의치 않을 것이다. 감사할 줄 모르는 사람들 때문에 마을 쓰지 말고, 오히려 당연하게 받아들이라. 예수가 하루에 나병 환자 열 명을 고쳤지만, 그중에 단 한 명만 감사하다고 인사했음을 기억하라. 우리가 예수보다 더 감사를 받아야 할 이유라도 있는가? 세상에서 사랑을 받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아무런 대가를 바라지 않고 사랑을 쏟는 것 뿐이다. 행복해지고 싶다면 감사를 바라지 말고, ‘주는 기쁨’을 얻기 위해 베풀라. 또한 감사는 ‘길러지는’ 것이다. 아이들이 감사하는 사람으로 자라길 원한다면, 그렇게 가르쳐야 한다.

※감사할 줄 모르는 것이 사람의 본성이라는 것을 알면 감사를 바라지 않게 되고, 그것이 나를 더 행복하게 만들어준다. 반대로, 그렇기 때문에 내가 감사할 줄 아는 인간이 되면 더 높은 차원의 사람이 될 수 있다. 항상 감사할 줄 알고, 감사를 기대하지는 말자.

4장. 백만 달러보다 가치 있는 것

: 로건 피어설 스미스는 간단한 문장으로 커다란 지혜를 전했다. “인생의 목표로 삼을 만한 것이 두 가지 있다. 첫째, 원하는 것을 얻으라. 둘째, 그걸을 즐기라. 현명한 사람만이 두 번째를 성취한다.” 내가 가진 문제가 아니라 받은 복을 헤아려보라. 이 문구를 기억하자. ‘나는 신발이 없어 우울했다. 거리에서 발이 없는 남자를 만나기 전까지는’

※매일 아침 잠에서 깨면 감사해야 할 모든 것들을 떠올려보자. 건강한 아이, 시력, 청력 등등.

5장. 나를 찾고 내 모습대로 사는 법

: 다른 사람을 모방하지 말라. 나를 찾고 내 모습대로 살아가라. 인간은 자신의 한계에 훨씬 못 미치는 삶을 살아간다. 인간은 다양한 종류의 능력을 가졌지만 그저 습관에 빠져 그 능력을 이용하지 않는다.

※다른 사람을 모방하려 해서는 안되지만, 배울 점을 배우는 자세는 필요하다. 부자가 되고 싶다면 부자들의 공통점을 찾고 배우고 적용하는 자세는 필요하다고 본다.

6장. 레몬을 얻으면 레모네이드를 만들라.

: 가장 좋은 것을 얻으려면 아주 힘든 과정을 거쳐야 한다. “행복은 즐거움이 아니라 승리감이다.” 즉, 행복은 성취감,성공감,레몬으로 레모네이드를 만들었다는 승리감에서 온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일은 당신의 이득을 잘 활용하는 것이 아니다. 바보라도 그렇게 할 수 있다. 진정 중요한 일은 손실을 이익으로 만드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머리를 써야 한다. 현명한 사람과 미련한 사람의 차이가 여기에서 드러난다.

7장. 2주 만에 우울증을 치료하는 법

: 알프레드 아들러가 한 말이다. “이 처방만 따르면 2주 만에 우울증이 나을 겁니다. 날마다 ‘어떻게 하면 누군가를 기쁘게 만들 수 있을지’ 생각해보세요.” 날마다 선행을 하면 왜 그토록 놀라운 효과를 얻을 수 있을까?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하려고 노력하다 보면 자신에 대해 생각할 겨를이 없기 때문이다. 자신에 대해 생각하는 일이야말로 걱정과 두려움과 우울증의 원인이다. 인간이 삶에서 조금이라도 기쁨을 얻고 싶다면 자신뿐 아니라 다른 사람을 이롭게 만들겠다고 생각하며 계획을 세워야 한다. 자신의 기쁨은 다른 사람에게 달려 있고, 다른 사람의 기쁨은 자신에게 달려 있기 때문이다.

[5부] 걱정을 이겨내게 해줄 강력한 법칙

1장. 부모님께 배운 걱정 극복 비결

: 걱정이 많고 불안하다면 하느님께 의지해보라. 당신이 선천적 혹은 후천적으로 종교를 믿지 않고, 심지어 철저한 무신론자라고 하더라도 기도는 생각보다 훨씬 유익하다. 기도는 ‘실제적’이기 때문이다. 실제적이라는 말은, 하느님을 믿는 사람이건 믿지 않는 사람이건 간에 기도가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는 3가지 기본적인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켜 준다는 의미다. 첫째, 기도는 우리를 괴롭히는 문제를 말로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기도는 짐을 혼자 진 것이 아니라 나눈다는 느낌을 준다. 셋째, 기도는 행동이라는 적극적인 원리를 실천하게 만든다. 기도는 행동의 첫걸음이다.

[6부] 비판을 받아도 걱정하지 않는 법

1장. 죽은 개를 걷어차는 사람은 없다.

: 부당한 비판은 칭찬의 다른 모습이라는 것을 기억하라. 죽은 개를 걷어차는 사람은 없다. 영향력이 큰 존재일수록 그것을 걷어차는 사람들은 더 큰 만족을 느끼게 마련이다. 당신이 두들겨 맞거나 비판을 받을 때, 가해자는 자신이 대단한 사람이라는 기분을 느끼기 위해서 그렇게 한다는 사실을 기억하라. 그런 경우는 대체로 당신이 훌륭한 일을 해냈거나 주목을 받을 만한 가치가 있는 사람임을 증명해준다.

2장. 부당한 비난에 대처하는 법

: 사람들이 부당하게 비판하는 것을 막을 수는 없지만, 그보다 훨씬 중요한 일을 할 수 있다. 중요한 일이란 부당한 비판 때문에 마음 상할 것인가 아닌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할 수 있는 대로 최선을 다한 후, 우산을 들어 비판이라는 빗줄기에 몸이 젖지 않도록 하라.

3장. 내가 저지른 바보짓들

: 자신이 저지른 어리석은 짓을 기록하고 스스로 비판하라. 우리는 완벽한 존재가 아니므로 공정하고 유익하며 건설적인 비판을 요청하라. 나에 대해서는 적의 의견이 내 의견보다 진실에 더 가깝다. 내가 자신을 살피지 않으면 누군가 나를 비판하기 시작할 때, 상대방이 무슨 말을 하려는지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도 자동적으로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게 된다. 지혜로운 사람들은 자신을 비난하고 욕하며 앞서가려고 다투는 사람에게도 배우려 한다.

[7부] 피로와 걱정을 예방하고 활력과 의욕을 높이는 6가지 법칙

1장. 하루 1시간 더 활동할 수 있는 비결

: 피로는 두려움과 걱정에 대한 저항력을 떨어뜨린다. 피로와 걱정을 예방하는 첫 번째 규칙은 이것이다. “자주 쉬라, 피곤해지기 전에 쉬라.” 군대에서 하듯이 자주 휴식을 취하라. 피곤하기 전에 미리 쉬라. 그러면 하루에 한 시간씩 더 활동할 수 있다.

※정말 중요하다. 피곤하면 쉬는게 아니라 피곤하기 전에 쉬어서 피로를 예방해야 한다. 쉴 때 핸드폰 보거나 컴퓨터 하지 말고 정말 눈 감고 쉬자. 낮잠을 잘 수 있으면 잠시라도 자고, 저녁식사 전에 1시간이라도 누워있을 수 있다면 그렇게 하자.

2장. 피로의 원인과 대처법

: 사람은 정신노동만으로는 피곤해지지 않는다. 뇌는 지치지 않는다. 그러면 당신은 왜 피곤한가? 정신의학자들은 피로가 대부분 정신적,감정적 태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말한다. 건강이 양호하며 앉아서 일하는 노동자들이 피곤한 이유는 100% 심리적 요인, 다시 말해 감정적 요인 때문이다. 우리가 피곤한 이유는 감정이 육체에 신경성 긴장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걱정과 긴장과 감정적 혼란이 피로의 주된 원인이다. 육체노동 혹은 정신노동 때문에 피로하다고 느낄 때도 사실은 이 세 가지가 주범인 경우가 많다. 정신노동을 하면서 이처럼 쓸데없이 긴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사람들은 대체로 열심히 노력한다는 기분이 들어야 고된 노동을 했다고 생각하며, 그렇지 않으면 일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이게 가장 큰 문제다. 그래서 우리는 집중할 때 인상을 쓰고, 어깨를 웅크린다. 자신의 근육에게 ‘노력’하는 자세를 보이라고 요구하는 것이다. 그래봐야 뇌가 움직이는 데는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하면서 말이다. 긴장 해소는 항상 근육을 이완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가장 중요한 부분은 눈이다. 신체가 소비하는 신경 에너지 중 1/4을 눈이 소비하기 때문이다. 몸을 뒤로 젖히고 눈을 감은 다음, “풀어라. 풀어라. 긴장 풀어라.”이 말을 반복하라. 다만 휴식을 취하기 위해 ‘노력’해서는 안 된다. 휴식한다는 것은 긴장과 노력이 전혀 없는 상태이다. 아무 때나 긴장을 풀고, 가능하면 편한 자세로 일하라. 하루에 네다섯 번은 자신을 돌이켜보며 이렇게 말하라. “일을 실제보다 더 어렵게 만드는 것은 아닌가? 이 일과 전혀 상관없는 근육을 쓰고 있는 것은 아닌가?”

※불안하고 걱정되는 상황에서 몸이 쉽게 가라앉고 계속 피곤함을 느낀 경험이 몇 번이고 있다. 그때는 피곤해서 걱정이 많아진 것이라고 생각하기도 했는데,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걱정 때문에 몸이 계속 긴장 상태여서 피곤했던 것이다. 힘을 빼고, 수시로 쉬어줘야겠다. 몸의 긴장을 항상 풀자. 그리고 ‘일을 셀저보다 더 어렵게 만들고 있는 것은 아닌지’ 체크하자.

3장. 가정주부가 피로를 풀고 젊게 사는 법

: 걱정을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은 신뢰하는 사람에게 문제를 털어놓는 것이다.그리고 기운을 북돋는 글을 모아둘 노트나 스크랩북을 마련하고, 다른 사람의 단점을 너무 오래 생각하지 말고, 이웃에게 관심을 가지고, 잠자리에 들기 전에 내일 할 일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긴장과 피로를 피하고 쉬라.

4장. 피로와 걱정을 예방하는 4가지 업무 습관

: 1.당장 처리할 문제와 관계없는 서류는 전부 책상에서 치우라. 복잡한 책상은 ‘해야 할 일이 산더미인데, 시간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끊임없이 상기시키며 사람들을 긴장하고 피로하게 한다. 2.중요한 순서대로 일을 처리하라 3.문제에 직면했을 때 의사결정에 필요한 사실을 알고 있다면 미루지 말고 그 자리에서 문제를 해결하라 4.조직하고, 위임하고, 관리하는 법을 익히라.

5장. 피로, 걱정, 분노를 일으키는 주범

: 피로의 주범은 지루함이다. 지루한 일을 할 때는 신진대사가 떨어진다. 당신이 정신노동을 하는 사람이라면, 업무량이 많아 피곤해지는 경우는 드물다. 피로는 일 때문이 아니라 걱정,좌절,분노 때문에 생겨난다는 교훈을 가슴에 새겨야 한다. 일을 진심으로 좋아하는 것처럼 하다보면 어느 정도는 일을 즐기게 된다. ‘마치’용감한 것처럼 행동하면 실제로 용감해지고, ‘마치’행복한 척하면 실제로 행복해질 수 있다. ‘마치’일에 관심이 있는 듯 행동하라.

6장. 불면증을 걱정하지 않는 법

: 사실 불면증보다는 불면증에 대한 걱정이 건강에 훨씬 해롭다. 불면증에 대해 걱정하기 싫다면 졸음이 몰려올 때까지 일을 하거나 책을 읽어라. 수면 부족으로 죽은 사람은 없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기도하거나 몸의 긴장을 풀라. 혹은 운동을 하라. 잠이 들 수밖에 없도록 몸을 피곤하게 만들라.

[9부]돈 걱정을 줄이는 법

1장. 걱정의 70퍼센트는 돈 문제다.

: 많은 사람들이 걱정하는 이유는 돈이 충분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가진 돈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 모르기 때문이다. 빚을 지지 않고 돈 걱정을 피하고 싶다면 개인들도 기업처럼 해야 한다. 지출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거기에 따라 돈을 쓰는 것이다. 1.사실을 기록한다. 2.자신의 필요에 맞게 예산을 짠다. 3.현명하게 소비하는 법을 배운다. 4.소득이 늘어났다고 해서 두통까지 늘지 않도록 주의한다. 5.대출을 대비해서 신용을 쌓는다. 6.질병,화재,긴급상황에 대비해서 보험을 든다. 7.생명보험금이 아내에게 일시불로 수령되는 것보다는 종신 소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8.자녀가 돈에 대해 책임감을 갖도록 가르친다. 9.필요하다면 요리를 해서 가욋돈을 번다. 10.도박은 절대로 하지 않는다. 11.재정 상태를 좀처럼 개선할 수 없다고 해서 자신을 학대하거나 억울해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