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거시 경제학 Basic Macroeconomics

Luke Avatar
기초 거시 경제학 Basic Macroeconomics

 

거시경제학

What, Why                                                        

1.국민경제의 순환과 거시경제변수                                                  

      1.거시경제학과 거시경제변수                                                       

      what                                                 

      국가단위 국민경제의 거시집계변수들의 결정요인과 상호관계 연구                                    

      why                                                  

      개별변수는 너무 많아 집계변수로                           

      개별경제는 대체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전체는 단순히 부분(개별경제) 합이 아니므로, 거시경제변수를 별도로 분석해야                             

      2.국민소득의 순환                                                              

      국민경제(tub)에서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생산.분배.지출의 순환 과정                                              

      소득순환모형                                              

      생산분배지출                               

      가계.기업.정부.해외                                    

      생산물시장, 생산요소시장, 화폐 금융시장                     

      주입과 누출                                                

      국민경제 순환의 생산물.생산요소의 증가. 감소                                    

      주입                                    

      투자                        

      정부지출                

      수출                        

      누출                                    

      저축                        

      조세                        

      수입                        

      국민소득 3 등가의 원리                                               

      생산국민소득                                  

      생산물의 총가치                

      분배국민소득                                  

      임금.이자.지대.이윤                        

      지출국민소득                                  

      생산물을 구매하기 위해 지출한 금액           

      소비.투자.정부지출.순수출                         

      사후적 일치                        

      재고투자 포함        

      3.균형국민소득의 결정                                                      

      국민소득은 모든 생산물에 대한 총수요와 총공급이 일치하는 균형에서 결정됨                                                

      국민소득의 균형조건                                             

      C + S + T = Ys(총공급) = Yd(총수요) = C + I + G + X – Q                          

      C 총공급의 C(소비) = 가계소득, 총수요의 C = 가계소비

      I 투자(수요. 사는 ) = 지금 사서 나중에 많이 벌려고

      신축아파트도 투자(없던게 생긴거라)

      G 정부지출(소비) = 정부가 사느라 쓰는

      재정정책

      정부투자(e.g. GTX) 포함 안됨. I.

      X 수출(국내서 만든

      우리나라에서 1년동안 만든 물건에 대한 수요를 더한것이 총수요

      Q 수입(외국서 만든)

      빼는 이유는 C 들어가 있기 때문에. 수입품은 소비에 들어가 있음

       

      누출과 주입의 균형조건                                                    

      S + T + Q = I + G + X                                   

      4.거시경제변수국민소득의 측정                                                     

      GDP 국내총생산                                        

      C + I + G + Xn(X-Q)                                     

      GNI 국민총소득                                        

      GDP +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 + 교역조건 변화로 인한 실질무역손익                                    

      국내외국인 임금.이자.배당 차감,해외국민 소득 추가                       

      수출품과 수입품 상대적 가격 비율(원유 오르면 GNI 내림. 반도체오르면 GNI 올라감)                

      5.기타 거시경제변수의 측정                                                         

      1) 물가와 인플레이션                                            

      물가지수, 바스켓, 특정연도 vs. 기준연도                             

      2) 실업과 고용                                          

      15세이상, 생산가능인구=취업자+실업자+비경제활동인구,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                                

      3) 통화량과 이자율                                                

      화폐의 , 화폐의 가격                            

      4) 국제수지와 환율                                                

      경상수지(무역수지)+자본.금융수지                           

2.거시경제학의 의의=>과제=>방법=>관점(=>이론=모형)                                                 

      1. 거시경제학의 의의                                                        

      국민경제 활동수준 분석위해 거시경제변수의 결정원리와 상호관계를 탐구                                            

      거시와 미시 차이(서로 긴밀하게 영향)

      분석 수준                          

      거시=국민경제수준에서                 

      미시=개별경제주체, 개별시장의 경제선택 연구

      미시. 어떤 상황에서 어떤 선택을 해야 가장 이익인지 결정하는. 대부분 투자 실패 경우는 거시경제 이해 부족(금리 )

      분석 대상                          

      거시경제학=거시경제변수             

      미시경제학=개별 경제주체의 경제적 선택과 이에 따른 개별 시장의 자원 배분                   

      분석 방법(같다고 수도 있다)                               

      거시: 총수요.총공급 모형             

      미시: 수요.공급 모형                     

      미시(개별경제) 합한다고 거시(전체경제) 나오지는 않는다. 전체와 부분 다르니 따로 살펴봐야.                                           

      절약의 역설(paradox of thrift)=저축의 역설: 저축=소득소비이므로 저축이 늘면 소비가 줄어 => 기업이 망한다 => 실업자 많아지며 => 소득이 준다 => 저축이 준다                                

      개별경제는 저축이 늘면 좋으나, 모두 저축이 늘면 국가경제는 망한다                           

      뱅크런: 개별경제는 무조건 빨리 출금해야하나, 경제 입장에서는 멀쩡한 은행도 망해서 내가 받을 있는 돈이 줄어 버린다.                              

      2. 거시경제학의 과제                                                        

      소득을 높이자=파이를 키우자

      성장에만 집중하고 분배는 다루지 못함

      거시경제변수를 어떻게 분석해서 규명하나?

      국민소득(제일 중요한 거시경제변수)                                  

      단기적 경기변동 business cycle                             

      순환변동

      경기변동(호황.불황) 여러 경제변수를 분석하고 정부 정책 등을 살펴 보는 것이 거시경제학의 목표

      기준순환일(경기변동의 저점과 정점)

      장기적 경제성장(->발전) economic growth                              

      추세변동

      포용적 경제제도를 가지는 정치가 경제성장시킨다. 거시경제학의 분야가 아니다

      3. 거시경제학의 방법

      수요공급 모형

      경제학 원리는 2가지

      1. 사람들은 이익 극대화 추구=>수요와 공급곡선의 모양

      2. 상품의 수요와 공급 같은 점에 균형 물량.가격 결정

      2원리를 모든 시장에 적용하는것이 경제학

      미시와 분석대상만 다르다

      거시는 총수요.총공급

      이익 극대화 모양

      개별상품가격, 전부합하면물가 국민총생산(GDP) = 국민소득 + 간접 세금보조금

      총수요 AD 총공급 AS 모형=전체 생산물 시장의 1 물량

      가격=> 물가수준, 상품량=>국민소득, 균형가격.상품량=>균형물가.균형국민소득

      C + S + T = Ys(총공급) = Yd(총수요) = C + I + G + X – Q

      불확실성하에서의 기대와 경제적 충격, 가격경직성

      균형의 변화인 경기변동 설명 위해 충격 존재

      예상,기대,충격=미래가 불확실해서 생김

      충격에 반응하며 경기변동 생김

      신축적가격(수량고정,가격조절=고전학파) vs 경직적가격(수량조절,가격고정=케인즈경제학의 경기변동 설명)

      충격이 왔을 단기적으로 경직적가격이 발생하여(가격은 안움직이고 수량이 변함) 경기변동 생김=균형국민소득이 총수요에 따라 결정된다.

      거시경제학의 기간대 구분가격의 경직성에 따라

      초단기 immediate short run

      생산물가격. 생산요소가격(임금) 고정된 기간대

      단기 short run

      생산물가격 신축적, 생산요소가격(임금) 경직 기간대

      장기 long run

      생산물 가격, 생산요소 모두 신축적=총공급곡선 Y축에 직선(생산량 고정, 가격 신축적)

      최장기 very long run

      기술 진보 등으로 생활수준 지속적 개선

      4. 거시경제학의 관점

      경제학자의 관점에서 이론과 모형, 현상의 설명이 나온다. 가격의 신축성과 시장의 수급조절 기능 견해에 따라.

      1. 고전학파적 접근방법

      총수요=균형국민소득=총공급=완전고용국민소득(노동시장의 수요=공급=>완전고용상태)

      세이의 법칙. 공급만 하면 수요는 항상 있다. 둘이 같아진다. 총공급이 국민소득 결정한다 = 임금 신축적, 생산물 가격 신축적

      2. 케인즈 접근방법

      총수요=균형국민소득총공급완전고용 국민소득

      임금 경직적 = 노동 수요가 많아도 임금 올라간다 = 노동 수요공급 => 완전고용상태 아님  

      공급을 해도 수요가 맞음. 가격 경직성 때문에. 결국 수량 조절로 총수요가 균형국민소득 결정

거시경제변수와 관계                                                             경제지표 결정 원리. 상호관계

3.소비                                                                

      국민소득 높이려는 것은 국민들이 소비를 많이 하고 많은 사람들이 있게 해주려는 목표

      1. 총수요의 구성요소와 소비지출

      균형국민소득 Y C + S + T = Ys(총공급) = Yd(총수요) = C + I + G + X – Q

      총수요 Yd 사전적 지출(계획된): 의도하지 않은 재고변동은 제외

      소비지출 C: 일정기간 동안 생산된 최종재 소비재에 대해 가계가 지출하는 금액. 얼마나 썼느냐가 아니라(그해 감가상각분) 내가 소비하기 위해 지출하는 금액(구입금액). 

      GDP 절반 이상 차지. 미국은 소비 70%이상 한국은 50%이하

      2. 소비의 결정요인

      국민소득 수준으로 소비 지출

      국민소득세금 + 보조금 = 처분가능소득

      소득x 소비y. 소비추세선=선형회귀선

      1. 소득.소비 양의 관계

      2. 한계소비성향(소득 1단위 늘때 소비 x) < 1.  = 소비의 변화분/처분가능소득의 변화분 한계소비성향이 1이라면 소비추세선 45. 한국 과거 평균 0.7

      3. 평균소비성향(APC Av Propensity to Consume) =소비/처분가능소득 소득이 늘어나면 소비/소득은 낮아진다.

      케인즈 소비 함수

      시험! 숫자 넣어서 계산

      C = C ̅+ cYd 소비 = 기초소비 + 한계소비성향*처분가능소득

      케인즈=소비의 결정요인은 현재소득. 고전학파=이자율에 따라 소비.저축 결정

      저축함수: S = Yd – (C ̅+ cYd) = -C ̅+ (1 – c)Yd

      저축 = 처분가능소득소비

      한계저축성향: 1 – c

      평균저축성향(APS Avg Propensity to Save)=저축/처분가능소득

      평균소비성향+평균저축성향 = 1

      한계저축성향 = 저축의 변화분/처분가능소득의 변화분

      한계소비성향+한계저축성향 = 1

      3. 소득 이외의 소비 결정요인

      1) 재산

      재산효과(부의 효과)

      3.6

      소득에 변화 없이 소비 증가로 저축 감소

      시험! 4지선다 소득 변화없이, 소비함수 위로, 저축함수 아래로 평행이동

      2) 차입여부 차입량

      돈을 빌리면 소비 여력이 늘어나 현재소비는 증가, 대신 부채가 증가 가계의 재산은 감소

      재산효과 음의 방향 작용하여 일부 소비 감소 효과

      차입의 증가는 미래소비를 감소시킴

      3) 물가 수준

      실질잔고 효과(real balance effect)-인플레로 실질가치 감소시켜 소비 감소

      4) 이자율

      이론적으로는 이자율 하락하면 차입하여 소비 늘리고 저축 줄인다

      연금수급자 이자소득 생활자는 이자율 하락하면 소득 감소, 소비에 부정적 영향

      현실에서는 이자율의 변화가 소비/저축에 미미한 영향

      5) 미래소득

      미래 소득 예상시, 차입으로 현재 소득 이상의 소비 증가

      케인즈 소비함수는 현재소득만을 소비의 유일한 결정요인으로

      항상소득가설, 생애주기가설 새로운 소비이론으로

      6) 소비 저축함수의 이동

      소득변화->소비변화시 점의 이동

      재산효과시 평행이동

      4. 소비이론의 일반화

      1) 항상소득가설

      permanant income hypothesis, 프리드먼

      케인즈의 절대소득가설(absolute income hypothesis)처럼 현재소비는 현재소득만의 함수가 아니라, 미래의 예상되는 평균 소득수준(항상 소득) 의해 결정됨

      평생 있는 평균적인 소득을 예상에서 중의 일부분을 소비=> 소비 평탄화(smoothing)

      일시소득 증가는 현재 소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항상소득 증가는 현재 소비를 크게 증가시킴

      2) 생애주기가설

      life-cycle hypothesis

      일생 동안의 소득변화 패턴 감안, 적절한 소비수준을 생애에 걸쳐 유지하려함

      이를 합하면, 총소비

      연령별 소비.저축 분석 가능

      그러나 틀림. 소득도 줄고, 소비도 느는 경향. e.g. 60대가 돼도 은퇴를 .

      3) 평가와 한계

      현재 소득 뿐만 아니라 미래소득에 영향 받음을 이론화했다

      한계: 현실의 상황(미래 예측, 유동성제약, 고령화/기대수명 증가) 따라 케인즈의 절대소득가설보다 반드시 우월하지는 않다

4. 투자와 순수출                                                        

5. 실업                                                               

6. 화폐수요와 이자율                                                            

7. 화폐공급과 인플레이션                                                       

8. 환율과 국제수지                                                                

거시경제변수 모은                                                                      거시경제변수 결정원리와 효과

9.거시경제의 수요측면                                                          

      1. 민간부분만의 폐쇄경제모형

      총지출모형 (aggregate expenditure model)

      케인즈일반이론에서 제시한 모형

      =케인즈의 단순모형=소득지출분석

      균형국민소득이 경제의 총수요(소비.투자) 의해 결정되는 설명

      Y = C + I 일때 균형 GDP

      S+T+Q=I+G+X이므로 T,G,Q,X 없는 모델에서의 균형에서는 저축 S = 투자 I

      균형에서는 의도하지 않은 재고 변동 0 (만든게 팔렸다, Y C+i 차가 0이므로)

      균형은 외부의 충격없이는 변하는것

      균형: 총지출=실질GDP =>  45(C+I=Y)선과 총지출함수(C+I) 만나는점이 균형 시험안나옴.

      승수효과(C+I+G+Xn에서 하나가 증가할 국민소득Y 증가분). 승수=1/1-한계소비성향=1/한계저축성향 한계소비성향=소비 2- 소비 1 / GDP 2 – GDP 1

      2. + 정부부문 + 개방경제

      Y = C + I + G + Xn(순수출)

      누출(S+T+Q) 주입(I+G+X) 같다

      의도하지 않은 재고의 변동 0 => 생산된 모든 상품은 계획된 지출(사전적) 따라 팔림

      3. 균형 GDP 완전고용 GDP

      경기침체

      완전고용상태(노동수요=노동공급) GDP에서 수요부족으로 공급 못하고 있을   음의 GDP 생겨 승수효과로 승수로 나눈 투자 늘려야(=경기침체

      경기침체 x 승수 = 음의 GDP

      해소 재정정책: 투자I.정부지출G 늘려야, 세금T 감면하거나

      인플레이션

      완전고용 GDP에서 수요가 많아 공급 많이 하는 경우(공사비.인건비 올라감) 양의 GDP = 인플레이션

      투자나 정부지출 줄여야

      4. 총수요곡선

      총지출모형과 총수요관계

      균형 GDP 총수요 측면만 고려(물가고정 가정)

      물가 변화 고려시 총지출모형의 균형 GDP 변화(총수요 변화) => 총수요곡선(물가변화시 총수요변화, 우하향)

      물가 오르면 C, I, Xn 감소 (I 화폐수요 증가해서 이자율 i 높아져서)

10. 거시경제의 공급측면과 총수요.총공급모형                                                     

      1. 노동시장의 균형과 총공급

      생산능력인 노동.자본.기술 단기적으로 총공급 결정요인은 노동변화가 가장 . 총공급은 단기적으로는 노동으로 결정

      노동의 수요와 공급의 노동시장 균형에서 경제의 총고용량 도출. 균형고용량이 총생산함수로 경제 총공급 결정

      한계원리(marginal principle) 경제주체가 의사결정 한계수입과 한계비용 비교. 결국 같아짐 => 노동수요.노동공급곡선 도출

      노동자 명을 고용함으로 추가적으로 얻을 있는 한계수입과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한계비용(명목임금)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는 점에서 고용량 결정

      1) 노동수요곡선: 노동의 한계생산물가치=한계수입=한계생산*물가. 추가로 고용된 노동자가 생산하는 상품을 기업이 판매해서 얻는 수입

      기업은 한계수입인 노동의 한계생산물가치와 한계비용인 명목임금이 같아지는 수준에서 고용량(노동수요량) 결정

      한계생산체감의 법칙: 노동자를 많이 고용할수록 추가로 고용된 노동자가 생산하는 상품의 양은 줄어드는 경향. 노동수요곡선 우하향

      노동공급곡선: 우상향, 노동공급의 한계비용 곡선

      노동자 추가적 얻을 있는 한계수입(실질임금) 일함으로 발생하는 한계비용(일하지 않을때 얻는 효용) 일치하는 점에서 노동공급 결정

      고용량이나 전체노동시간이 증가할수록 여가를 누릴 얻을 있는 효용이 증가함.

      2) 총생산함수: 생산요소의 총투입량과 경제의 총생산량의 관계

      Y = A · F (K, L)

      Y: 총생산량=실질GDP, K 자본투입량, L 노동투입량(고용노동자수 or 총노동시간), A 총요소생산성(기술수준 )

      우상향. 기울기는 노동의 한계생산점점 기울기 줄어듬(한계생산체감의 법칙

      2. 총공급곡선

      물가가 변했을 노동투입량의 변화, 총공급의 변화

      세로.물가수준, 가로.실질GDP

      노동수요는 한계생산물가치에 의해 결정

      한계생산물가치는 노동의 한계생산과 물가수준에 의해 결정

      i. 물가변화는 노동수요 변화시켜 고용량 영향

      ii. 물가 변화 => 노동공급의 한계수입인 실질임금 변화 => 명목임금 수준 조정 => 기업의 노동수요와 고용량 영향 => 총공급 영향

       

      기간대별 물가와 명목임금 조정되는 속도 상이 => 총공급 영향도 기간대별로 달라짐

      i. 초단기: 물가와 명목임금 고정. 경직적

      ii. 단기: 명목임금 고정, 물가 신축적

      iii. 물가. 명목임금 신축적

      기간대별 총공급곡선

      i. 초단기 총공급곡선

      고정된 물가수준에서 수평

      고정된 가격에 존재하는 수요량만큼 상품 생산

      고정된 물가 가정한 총지출모형과 유사

       

      ii. 단기 총공급곡선

      우상향=물가오르면 상품 생산,공급. 물가와 총공급 + 관계

       

      iii. 장기 총공급곡선

      물가오르는만큼 명목임금 상승. 완전고용생산량에서 변하지 않음

      물가상승에도 실질이윤변화 없어 총공급 변화없음

      현실에서는 존재안함(임금 인상 어려움)

      완전고용 GDP 수준에서 수직

       

      3. 단기 장기 총공급곡선의 관계

      단기=>장기 도출

      임금오르면 생산량 줄임=노동의 초과수요에서 완전고용상태까지 이동

      물가 내려가면 노동의 초과 공급(=> 실업자 => 임금하락)=> 생산량 늘림=총공급 증가.

       

      4. 총수요.총공급 모형의 균형

      1) 단기균형

      2) 장기균형=완전고용GDP=>고전학파

      현실에서는 장기균형은 없다: 임금상승.하락은 물가변화와 같지 않다. 시간이 너무 걸려, 다른 새로운 충격들이 발생하여 계속 단기균형 변화

      케인즈장기적으로 우리는 모두 죽는다(In the long run, we are all dead)”

충격받을때 변화                                                                  

11. 총수요.총공급 모형의 응용                                                         

      8가지 변화요인과 방향

      총수요.총공급

      증가(R).감소(L)

      단기.장기균형

      1. 총수요곡선을 이동시키는 요인

      1) C 소비지출의 변화요인

      총수요 결정요인(총수요곡선 좌우로 이동)

       

      물가이외에(물가변화에 따라 이동), C, I, G, Xn

      i. 재산효과.부의 효과로 소비지출 변화

      ii. 소비자의 차입으로 소비지출 변화

      iii. 소비자의 미래 기대로 현재 소비지출 변화

      iv. 조세수준, 세율의 변화로 소비지출 변화

      2) I 투자지출의 변화요인

      i. 이자율

      ii. 투자 기대수익률

      상승하면 투자지출증가=>총수요곡선 우측으로

      3) G 정부지출. Xn 순수출의 변화요인

      정부지출=재정정책 기조

      순수출 영향요인

      교역대상국의 국민소득

      상대적물가수준

      환율

      2. 총공급곡선을 이동시키는 요인

      생산량은 실질이윤 변화에 따라 반응

      물가를 제외하고, 생산비용(생산요소가격,생산성)으로 총공급 영향

      생산요소의 가격

      노동이민 급증

      자본생산기술

      토지간척사업, 산업용지조성

      원유 원자재가격

      환율 변동

      생산성

      =생산량/생산요소 투입량

      기술로 비용 감소

      .제도

      신사업영업규제(e.g. 카세어링) 비용 발생

       

      3. 단기 총수요.총공급 모형의 응용

      1) 총수요의 증가=수요견인인플레이션

       

      국민소득 증가

      2) 총수요의 감소: 경기침체와 경기적실업

      음의 GDP 발생=>경기침체

      수요가 줄어들어도 물가가 떨어지기는 쉽지 않다 e.g. 코로나

      b 갔다 c

      3) 총공급의 감소: 스태그플레이션

      경기침체+인플레이션

      석유파동.코로나

      (-) 총공급충격

      음의 GDP . 물가상승

      4) 총공급의 증가: 완만한 인플레이션과 빠른 경제성장

      기술진보 등의 좋은 충격

      총공급 증가하며 GDP 증가, 물가 하락해야하나 현실은 X

      공급증가->소득증가->수요도 증가

      공급증가->물가안정(디플레방지)위한 통화정책->수요 증가

      물가 예전보다 약간 올라감

      4. 장기 총수요.총공급 모형의 응용 :현실에서는 계속적인 충격으로 단기만

      1) 총수요 증가

      오버웤.고용=>임금상승=>생산요소 상승=>왼쪽으로 이동 b에서 c

      a=단기균형. c=장기균형

      현실에서는 a에서 b로는 가나 c로는 안감(오래 걸려 사이에 다른 충격 발생)

      2) 총수요 감소

      하방경직성으로 물가는 떨어짐. a에서 b (단기는 c 가나, 장기에는 임금변화. 그러나 현실에서는 임금 거의 떨어져서 장기균형 d 안감)

      음의 GDP->실업자 발생->임금 하락-> 원가 하락-> 실질이윤 증가 ->생산량 증대 = 총공급 증가

       

      경제의 자기교정기능

      단기적으로는 경기침체여도, 장기적으로는 임금 조정으로 완전고용상태로 회복

      현실에서는 X(임금이나 물가가 바로 떨어지지 않으므로)

      3) 총공급의 감소

      오일쇼크

      시간 지나면 임금 떨어져 a 간다

      현실에는 X

      경기부양정책의 딜레마

      a 안가 c 옮김

      물가는 오름

      4. 총공급의 증가: 장기경제성장

      기술의 진보 구조적(영구적) 변화

      4차산업 혁명

       

      가장 좋은 케이스

      완전고용 국민소득이 증가

      a에서 b 가야하나 디플레 막기 위해 통화팽창=> c로경제성장

정부정책시 변화                                                                  

12. 총수요.총공급 모형과 거시경제선택 I                                                 

      경기안정화 위한 총수요 조절 정책(재정정부.통화중앙은행)

      총수요 조절이 많고 총공급 조절 거의 없다. 생산요소나 생산성 조절 정부가 X=총공급 곡선 이동시키는 정책 X

      1. 재정정책fiscal policy 단기효과

      정부지출과 조세를 변화시켜 총수요 영향

      추경.재난지원금.보조금 G

      세금 C. I 영향

      지출.세금조절

      확장적 재정정책

      정부지출 증대. 건설등, 세금 감면=>총수요.총지출 늘리는

      총수요곡선 우측으로 이동시켜 원래의 완전고용 GDP 이동 

      충격으로 Y2 가서(실제로는 Y1=b)  정부정책으로 정부지출(공공근로사업)=> 승수효과로 소비 증가

       

      세금감면: 국민소득 40 늘리려면, 세금 감면 13.3조원=>소비 10 증가(승수4 40 총수요증가). 저축 3.3

      시험.기말!(연습문제에) 정부지출 확대와 세금감면 조합도..승수효과 계산

      한계소비성향 x 승수 = 소비 x 승수 => 국민소득 증가분

      긴축적 재정정책

      정부지출 감소, 세금 증대(=>소비.투자 감소)

      제도의 특징으로 

      재량적 재정정책

      정부의 의도에 따라서

      자동안정화장치

      여건 변화에 따라 제도가 자동

      실업수당, 기초급여

      2. 통화정책의 수단 운용목표

      돈의 . 돈의 가격(이자율) 조절로 총수요 영향

      물가안정과 완전고용 목표

      1) 정책수단

      i. 공개시장운영(조작)

      화폐공급

      중앙은행 채권매입=> 은행 지급준비금(중앙은행 지준예치금), 민간 현금통화 증가 => 본원통화 증가 => 신용창조 => 경제 전체의 화폐공급 증가 => 시장이자율 하락

      보통 단기 채권매입하나 글로벌금융위기 이후 장기채권매입하여 직접적으로 시장이자율 영향=양적완화정책 quantitive easing

      화폐회수

      채권매각

      평상시 가장 많이 사용

      1. 신속하게 시행 가능

      2. 지급준비금에 직접 영향

      3. 수시로 조절 가능

      ii. 재할인율정책(대출정책)

      재할인율(이자) 인하=중앙은행이 일반은행에 대출

      은행 지급준비금, 본원통화 증가, 신용창조로 화폐공급 증가

      iii. 지급준비율 정책

      법정지급준비율+초과지급준비율

      법정지급준비율 변화시킴

      신용승수= 1/법정지급준비율

      법정지급준비율 인상 => 신용승수하락 => 경제 화폐공급 감소 => 시장이자율 상승

      선진국에서는 쓰지 않는다(충격이 커서). 중국은 활용

      iv. 지준부리

      interest on reserves

      중앙은행 지준예치금에 이자 지급

      이자율 높이면 대출보다 지준예치금 늘어 화폐공급 감소

      마이너스금리정책=지준부리 이자율을 (-)으로, 적극 대출 유도

      2) 운용목표: 기준금리

      기준금리

      중앙은행이 화폐공급을 조절로 달성하려는 목표 이자율=결국 콜금리 맞추는게 목표

      인하하면 일반은행에 낮은 금리로 대출

      미국=통제가능한 시중금리. 은행 초단기 대출(지급준비율 맞추기위해) 연방기금금리(한국은 콜금리) 기준금리로

      화폐공급의 속도계+직접 시장이자율에 영향

      중앙은행 인하 발표후 공개시장운영으로 채권 매입으로 지급준비금 증가->콜시장에서 초과지급준비금의 공급이 늘어나며 콜금리가 목표수준으로 하락할 때까지 채권매입 지속

      3. 통화정책의 단기효과

      4. 재정 통화정책의 장기효과

13. 총수요.총공급 모형과 거시경제선택 II                                                

논쟁과 발전 요인                                                                

14.거시경제학의 논쟁                                                                

15.경제성장과 경제발전                                                             

      장기경제성장 O, X?

      거시경제학이 답하기 어려움

      대부분 정치.제도로 설명

줌수업 9/13

9/22까지 출석과제 제출

이름과 적어 워드파일로 제출

3 12. 정부정책

기말시험 오리엔테이션 영상 보기

기말고사연습문제에서 98% 같이 나옴. 나머지 2% 계산문제 숫자 바뀌어 나옴

수업에서는 제일 중요한   주로 국민소득과 물가 많이 다룸

항목 분기 1

승수효과

Y균형국민소득=C+I+G+Xn

I 늘어날때 Y?

I 늘어날때 다른 요소도 변한다

      생산 참여한 사람들에 소득분배됨

      특히 소비 C 늘어남

      Y 늘어난다

      나의 지출은 다른 사람에게 소득

      연쇄(승수효과)

      늘어난 소득의 일부를 한계소비성향만큼 늘어남

      소득 증가분에 따른 소비 증가분

      0.5라면 백만원 50만원 소비

      10 소득 증가시 5 소비 증가

      지출로 소득 사람들 소비 2.5 증가

      한계소비성향 늘수록 소득.소비 늘어남(승수 커짐)

      처음에 I 들어간 숫자에 승수를 곱하면 국민소득 Y 증가

승수=국민소득(실질GDP) 변화분/총수요 구성요소의 초기변화분

시험. 기말 계산 여러문제 승수=1/1-한계소비성향=1/한계저축성향

       

10.11

우하향 이유 알아야

10 삼만리 자전거.

      총공급 곡선 모양 설명

      우상향. 물가 올라감=기업 물건 많이 만들어서=마진 많이 남아서

      장기 총공급곡선에선 가격올라가나 내려가도 물건 많이 만들고 정해진 수량만큼(완전고용(=비자발적 실업자 X) 국민소득) 만듦

      장기수요선이 왼쪽 이동하면 실업자 증가 => 인건비 줄어듬 원자재가 떨어짐 => 공급 시작 => 장기공급선 오른쪽으로 이동=> 완전고용 수준으로 돌아감(자동으로)

      장기에는 마진이 올라가므로.

      단가 올라가는 만큼 원가 올라가는 경우

      단기에는 안변해 많이 만들수록 이익

      장기=물가인상=임금인상 요구, 원자재 수요 많아져 원가 올라감

      현실 X

      물가 올라 시간 지나도 같이 임금 오르진 않는다

11  8가지 변화

      충격이 왔을 경제 전체로 어떻게 변하는지

      충격의 종류에 따라(총수요에, 총공급에)

      총수요.총공급 증가.감소에 따라

      단기효과. 장기효과

플로팅 노드

 

1. 거시경제학이란 국가단위 국민경제의 거시집계변수들의 결정요인과 상호관계 연구
1.0 국민경제의 순환과 거시경제변수
1.1 국민경제 소득순환의 누출 저축S, 조세T, 수입Q
생산물.생산요소의 양을 감소
1.2 국민경제 소득순환의 주입 투자I, 정부지출G, 수출X
생산물.생산요소의 양을 증가
1.3 누출과 주입의 균형조건 S + T + Q = I + G + X
1.4 국민소득 균형조건 C + S + T = Ys(총공급) = Yd(총수요) = C + I + G + X – Q
1.5 GDP 와 GNI GDP 국내총생산: 국내에서 생산된 생산물의 가치 합계. 생산 측면의 지표.
C + I + G + Xn(X-Q)

GNI 국민총소득: 국민이 국내외에서 번 소득 합계. 소득 측면의 지표

1.6 우리나라 GDP 포함 미국 기업이 우리나라 공장에서 생산한 제품
1.7 GDP에서 GNI 계산 GDP+국외순수취요소소득 (+해외국민소득-국내외국인 임금.이자.배당) + 교역조건변화로 인한 무역손익
1.8 국민소득 3면 등가의 원리 생산(생산물 총가치), 분배(임금,이자,지대,이윤), 지출 국민소득(소비,투자,정부지출,순수출)이 사후적으로 항상 일치(재고투자 포함)
1.9 경제활동인구조사 경제활동인구조사는 15세 이상 생산 가능인구
생산가능인구(경제활동인구+비경제활동인구)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구직활동)
비경제활동인구(학생, 실직자, 은퇴자, 가사 노동자)
1.10 실업률.생산가능인구 실업률은 경제활동인구에서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임.
실업자가 증가하더라도 경제활동인구의 증가폭에 따라 실업률이 상승할 수도 있고 하락할 수도 있음
1.11 거시경제변수 GDP, GNI, 물가.인플레이션, 실업.고용, 통화량.이자율, 국제수지.환율
2. 거시경제학의 목표 국민소득을 높이자
2.0 거시경제학의 의의, 과제, 방법, 관점
2.1 GDP의 단기.장기 변화와 과제 단기: 경기변동.순환(호황.불황)=> 경제변수 분석과 정부 정책
장기: 경제성장(추세변동)=> 정치
2.2 경제학의 수요.공급 모형 1. 이익 극대화 추구로 수요,공급 곡선
2. 수요와 공급 점에 균형 물량.가격 결정
2.3 수출이 증가한 경우, 총수요.총공급 곡선과 GDP.물가 총수요곡선이 우측 이동하면서 GDP가 증가하고 물가수준이 상승
∵ 수출증가->국내외환수입증가->국내소비.투자 촉진, 국내화폐 공급량 증가-> 국내총수요 증가. 물가상승
2.4 원자재 가격상승으로 기업의 생산비용 증가한 경우, 총수요.총공급 곡선과 GDP.물가 생산비용을 증가시키는 충격이 발생하면 총공급이 감소하면서 총공급곡선이 좌측 이동함. y축 물가, x축 국민소득. 그 결과 GDP가 감소하고 물가수준이 상승(생산비용 증가를 소비자에게 전가, 제품.서비스 가격 상승)
2.5 거시경제학 학파별 관점 (고전학파 vs. 케인즈) 1. 고전학파: 총수요= 균형국민소득= 총공급= 완전고용국민소득 (노동시장의 수요=공급=> 완전고용상태). 세이의 법칙: 공급만 하면 수요는 항상 있다. 총공급이 국민소득 결정. 임금,생산물 가격 신축적.

2. 케인즈: 총수요= 균형국민소득≠ 총공급≠ 완전고용 국민소득,

완전고용상태 아니고, 임금 경직성으로 공급해도 수요가 안맞음. 수량조절로 총수요가 균형국민소득 결정

3. 소비
3.0 소비의 결정요인 소득, 재산, 차입, 물가, 이자율, 미래소득
3.1 한계소비성향 (소득 1단위 늘 때 소비 x) < 1.
= 소비의 변화분/처분가능 소득의 변화분
한계소비성향이 1이라면 소비추세선 45도. 한국 과거 평균 0.7
3.2 한계저축성향 저축의 변화분/처분가능소득의 변화분
한계소비성향+한계저축성향 = 1
3.2 케인즈 소비함수 C = C ̅+ cYd
소비 = 기초소비 + 한계소비성향*처분가능소득
케인즈=소비의 결정요인은 현재소득.
고전학파=이자율에 따라 소비.저축 결정
3.3 C = 400 + 0.8Yd 일 때, 한계소비성향과 한계저축성향 0.8, 0.2
3.4 C = 500 + 0.6Yd 일 때, 저축함수 S S = -500 + 0.4Yd
저축 = 처분가능소득 – 소비, S = Yd – C
3.5 재산효과(=부의 효과)=재산 증가시, 소비함수, 저축함수 소득 변화없이 재산의 가치가 증가하면,
소비함수 위로, 저축함수 아래로(
소비가 증가하여 저축이 감소하므로)
3.6 실질잔고효과=물가 상승시, 소비함수.저축함수 인플레로 실질가치 감소시켜 소비 지출 감소, 저축 증가
3.7 항상소득가설 일시소득 증가는 현재 소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항상소득 증가는 현재 소비를 크게 증가시킴
4. 투자와 순수출
4.1. 투자지출의 의미 일정기간 동안 생산된 최종재 가운데, (새롭게 생산된)자본재의 매입 또는 건설을 위해 지출하는 총금액
새롭게 생산된 자본재: 기존 존재 자본재는 거시경제에서의 투자 지출이 아님 (주택.공장 매입이나 주식,금융자산 등)
4.2 투자지출의 종류 1. 고정투자(총고정자본형성): 지식재산생산물투자, 설비투자, 건설투자
2.
재고투자(재고증감)
4.3 투자의 기대수익률 투자의 한계편익은 새로운 자본재 한 단위를 구입함으로써 미래에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는 기대이익. 이 추가적인 기대이익을 투자 원금 대비 비율로 표시한 것
4.4 투자의 한계비용 투자에 소요된 자본비용으로 기회비용인 이자율로 결정. 투자수요과 이자율은 역의 관계(투자수요곡선)
4.5 투자수요곡선의 이동요인 이자율, 경제 전망, 투자자 기대변화, 자본재가격과 비용, 세금, 기술변화, 기존 자본재
4.3 실질 순수출의 결정요인 1. 국민소득
– 우리나라
국민소득(증가시 수입 증가=>순수출 감소)
– 교역대상국 국민소득 감소(교역대상국 수입 감소=> 순수출 감소)
2. 물가수준
– 우리나라 물가가 교역상대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승했을때, 국내 상품 가격이
외국상품 비해 상승(수출 감소, 수익 증가 => 순수출 감소)
3. 환율
달러당
환율 상승(=원화가치 하락)시 수출품의 달러표시가격 인하로 수출 증가.외국상품은 원화표시가격 인상으로 수입 감소=> 순수출 증가
4.4 총수요 구성요소와 국민소득: 승수효과 총수요 구성요소(소비.투자.정부지출)의 변화로 국민소득도 변화.
승수효과: 총수요 구성요소 중 하나가 증가할 때 그 초기 증가분의 몇 배에 이르는 크기만큼 국민소득이 증가
승수 = GDP 변화분 / 총수요 구성요소 초기 변화분
4.5 한계소비성향이 0.75, 정부가 10조원 돈을 썼을 때 실질 GDP 증가? 한계소비성향: 소득 1단위 올라갈 때, 올라가는 소비 단위
승수는 (1-한계소비성향)의 역수인 4(=1/(1-0.75)).
승수 = 1 / 1-한계소비성향 = 1 / 한계저축성향
승수와 한계소비성향은 정의 관계
국민소득 변화 초기 : 10조원 상승, 소비 7.5 상승(한계소비성향= 0.75), 저축 2.5조 상승(한계저축성향= 0.25)…
승수 X 정부지출(초기 국민소득 변화량) 10조 = 40조
4.6 한계소비성향 0.5, 국민소득 800조로 증가시키려면, 정부지출을 얼마나? 승수= 1/0.5 = 2
800/2 = 400조
5. 실업
5.1 실업률, 고용률, 경제활동 참가율 생산가능인구(1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 + 비경제활동인구
– 취업자: 1주에 수입목적 1시간 이상 일, 주당 18시간 이상 일한 무급가족종사자, 일시휴직자(병,사고,연가,교육,노사분규)
– 실업자: 지난 4주간 구직활동

실업률 = 실업자 / 경제활동인구 => 경기와 노동시장 문제
고용률 =

취업자 / 생산가능인구 => 노동력의 활용 정도
경제활동참가율 = 경제활동인구 / 생산가능인구

5.2 자발적실업, 비자발적실업 비자발적 실업: 노동자들이 시장에서 통용되는 임금수준을 받고 일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데도 일자리가 없어 취업을 하지 못하는 것
구조적 실업: 기술변화나 산업구조 재편으로 비자발적 실업 (노동의 초과공급), 특정부문에서 발생
경기적 실업: 경기변동으로 총수요감소로 비자발적 실업 (노동 초과공급), 경기상황과 연관. 재정.통화정책의 대상

자발적 실업: 현재의 시장임금 수준에서 일할 의사가 없어서 이보다 더 높은 임금을 지불하는 일자리를 찾기 위해 탐색하는 것
마찰적 실업: 더 나은 일자리 위해 자발적 실업

5.4 자연실업률 경제전체의 노동수요와 노동공급이 일치하는 완전고용상태에서의 실업률
= 마찰적 실업률 + 구조적 실업률
5.5 비자발적 실업 원인 노동수요공급 곡선에서 임금이 완전고용 균형점보다 높을 때, 임금의 하방 경직성 때문(효율임금 이론, 내부자-외부자 이론) = 특정집단에만 높은 임금 적용시, 다른 노동자들 취업 어려워짐
5.6 효율임금 이론 균형임금보다 더 높은 임금을 지불하면 더 열심히 일하거나 이직이 줄어 노동생산성이 향상되고, 그 결과 단위당 노동비용이 감소하여, 균형임금 지불때보다 더 높은 이윤을 거둔다.
5.7 내부자-외부자 이론 비자발적 실업이 발생하는 경우, 낮은 임금으로 외부자를 고용하는 대신, 기존의 높은 임금으로 내부자들을 계속 고용하는 경향. 교육, 숙련도, 노조 등의 영향
5.8 오쿤의 법칙 호황시 경기적 실업 줄고, 불황시 경기적 실업 는다.
경기변동 측정.
GDP 갭 = (실제 GDP – 완전고용 GDP) / 완전고용 GDP
GDP 갭이 + 면 경기 호황. 완전고용 GDP는 GDP 추세 변동치로 계산
GDP 갭과 경기적 실업사이의 경험적 관계=오쿤의 법칙. 실업이 초래하는 경제적 비용 측정에 사용
6. 화폐수요와 이자율
6.1 통화지표 M1 협의통화 = 현금통화+요구불예금+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파킹통장, MMDA)
M2 광의통화 = M1+정기예적금 + 시장형금융상품+실적배당형금융상품+금융채
Lf 금융기관유동성 = M2 +
2년이상 정기예적금 및 금융채 + 한국증권금융 예수금 + 생명보험회사 보험계약준비금
L 광의유동성 = Lf + 국채, 지방채, 기업어음, 회사채, 증권회사RP, 여신전문 금융기관 채권, 자산유동화증권
6.2 화폐 수요 여러 형태의 자산 가운데 화폐의 형태로 보유하려는 금액이 얼마나 되나
케인즈 유동성 선호설
1. 화폐 거래수요(상품 구매)
2. 화폐 자산수요(가치 저장)
6.3 GDP, 물가, 이자율과 화폐수요곡선 화폐거래수요는 명목GDP, 물가와 정의 관계= 화폐거래수요+ -> 소비+ -> GDP+, 거래수요+>화폐량 + -> 물가+
화폐
자산수요는 이자율과 역의 관계
6.4 화폐공급곡선. 긴축통화정책, 이자율 긴축적 통화정책을 통해 화폐공급을 줄이면 화폐공급곡선이 좌측으
로 이동함. 화폐수요가 불변인 상황에서 화폐공급곡선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화폐시장의
균형이자율은 상승
7. 화폐공급과 인플레이션
7.1 본원통화 monetary base. 중앙은행이 직접 발행하여 공급한 화폐.
= 민간보유현금+총지급준비금(은행 시재금+중앙은행 지준예치금)
7.2 파생통화 본원통화를 기초로 은행시스템이 신용창조로 추가적으로 창조하는 화폐
7.3 중앙은행의 기능 발권기능, 은행의은행(최종대부자), 정부의 은행, 통화정책
7.4 신용창조(예금창조) 고객의 예금을 다른 경제주체에게 대출하여 경제 전체의 예금의 양을 증가시키는 과정. 예금은 통화량이므로, 화폐를 창조하는 과정.
7.5 부분지급준비제도 fractional reserve banking. 은행들이 받은 예금의 일부만을 지급준비금으로 현금으로 보유하거나 중앙은행에 예치사고, 나머지는 대출 등으로 운용하는 것. 신용창조의 필요조건
7.6 총지급준비금 법적지급준비금(뱅크런 방지 법적 의무) + 초과지급준비금(대출수요, 영업자금 등)
7.7 법정지급준비율 25%, 요구불예금 100만원, M1 얼마까지 증가? 신용승수=1/법정지급준비율.
통화량=예금X신용승수
400만원
7.8 화폐공급의 내생성 민간이 현금을 많이 보유할수록, 은행의 초과지급준비금이 많을 수록, 신용승수는 작아진다. 이자율이 상승하면 화폐공급도 증가.
경제전체의 화폐공급은 중앙은행이 외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일반은행과 비은행 민간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경제 내에서 내생적으로 결정. 이 때 화폐공급곡선 우상향.
7.9 이자율 상승시 왜 화폐공급 증가 이자율상승-> 은행 대출 확대-> 대출.예금 동시 증가-> 예금 증가분의 신용승수 만큼 대출 더 커짐-> 경제 통화량.화폐공급 증가
7.10 예상치 못한 인플레이션의 사회적 비용 – 자의적인(의도하지 않은) 소득재분배: 물가상승이 고정 수입층이나 낮은 소득층에 더 큰 영향을 미쳐, 소득 격차 심화
– 자원배분의 효율성 저해(투기의 성행): 물가상승 예측하여 해당 자산 투기적 매입, 불확실성 증가로 하이리스크 거래 유발
–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확대(
경제주체들의 장기계약 회피)
7.11 디플레이션의 경제적 비용 차입자 실질채무부대 증가. 재무상태 악화. 소비.투자 감소로 경기침체
실질임금 상승. 고용.생산 감소로 경기침세 심화
7.12 인플레이션과 구매력 인플레이션-화폐가치 하락-통화량 증가-구매력 축소
7.13 교환방정식 인플레이션과 화폐공급 관한 통화주의학파(고전학파 계승) 이론
MV 총지출액 = PQ 총거래액
M 통화량, V 화폐유통속도, P 물가수준, Q 실질GDP(경제전체 거래.판매양)
물가상승률(인플레이션)은 화폐공급(통화량) 증가율이 전적으로 결정(화폐유통속도와 실질GDP는 거의 일정)
단기간 통화량 증대 -> 초인플레이션, 장기인플레이션(예, 베네수엘라, 나치) but 금융위기때 물가 오르지 않았음(금융위기로 경제활동 위축, 수요 감소했어서). 코로나 후 인플레이션은 비용 인상(코로나로 인한 공급망 교란으로 공급부족, 우러 전쟁으로 에너지 가격 상승=> 제품 가격 상승)이 주원인. 그러나 정부지원금으로 풀린 돈이 집콕으로 인한 온라인 등 소비증가와 인플레 대비한 자산매수로 자산증가도 인플레 기여
8. 환율과 국제수지
8.1 실질환율 – 실질환율은 외국 상품 1단위와 교환할 수 있는 우리나라 상품의 양
– 명목환율 상승률과 우리나라 물가 상승률이 동일하면 실질환율은 불변
– 국내와 해외의 물가가 고정되면 실질환율과 명목환율 변동률 동일
8.2 변동환율제도 외환공급과 수요 결정요인과 환율결정원리 수출과 자본유입 증가하면, 외환시장에 외환 공급 증가로 환율 하락
수입과 자본유출 감소하면, 외환시장에 외환 수요 감소로 환율 하락
8.3 변동환율제도 vs 고정환율제도 – 고정환율제도:
단점: 국내통화량이 외환시장의 상황에 따라 내생적으로 결정되어(
달러 팔고 원화 사면 국내 통화량 감소로 긴축됨), 정책당국이 국내 상황에 맞는 통화정책을 수행하기 어렵다.
단점:
투기적 공격에 취약(평가절하 등 예상되면 투기로 위기 심화).
단점: 외환의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지 않는다.
국제수지 균형 이루지 못해, 만성적 흑자나 적자
장점: 환율이 잘 안 변해, 환위험이 크지 않아 무역, 국제금융거래 촉진

– 완전한 변동환율제도:
장점:

외환의 수요와 공급이 국내 통화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중앙은행이 달러를 사고 팔 필요가 없어, 예기치 않은 통화량 변화가 없다. 국제수지가 자동으로 균형을 이룬다.(수출 증가->외환 공급 증가-> 외환가격(환율) 상승-> 통화(원화)가치 상승-> 상품 가격 인상 -> 해외수출상품 수요하락 -> 수입 감소)
단점: 환율이 자율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급격하게 변동 가능 -> 수출입 기업의 경영 어려움. 환율 변동으로 소비자물가도 변동 가능

8.4 국제수지 = 순수출 + 순자본유입
= (수출 – 수입) + (자본유입 – 자본유출)
= (수출 + 자본유입) – (수입 + 자본유출)
= 외환의 공급 – 외환의 수요

=>

국제수지 균형 = 외환시장의 균형

8.5 경상수지 순수출(좁은 의미의 경상수지)
8.6 경상수지 적자가 확대되는 경우 과소비에 따라 민간저축이 감소하는 경우
방만한 재정 운영으로 인해 정부저축이 감소하는 경우(쌍둥이 적자)
총저축에 비해 투자가 더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경우 => 긍정적 현상일수도(투자의 종류에 따라) => 경상수지 적자가 부정적이지만 않다
9. 거시경제의 수요측면
9.0 총지출모형 케인즈 일반이론. 단기적으로 실질 GDP가 같은 기간의 총지출 수준에 의해 결정된다는 경기변동모형
9.1 총지출모형=고정된 물가수준 가정 실제 GDP가 총지출보다 클 경우, 의도하지 않은 재고가 증가하면서 기업들이 생산량을 점차 감소시키므로 시간이 지나면 GDP가 균형수준에 수렴하게 된다.
9.2 총지출모형, 소비함수 C(총소비) = 400+0.6Y(실질GDP), 투자지출 40억 증가하면 균형GDP는? 한계소비성향 0.6, 투자승수는 2.5(= 1/(1-0.6))
40억 x 2.5 = 100억
9.3 경기침체 갭 완전고용 GDP 수준에서 경제의 균형을 달성하기 위해 추가로 증가해야 하는 총지출의 크기
9.3 GDP 갭 =GDP 순환변동치=실제 GDP가 완전고용 GDP로부터 벗어나는 차이(gap) 비율
9.3 한계소비성향 0.75, 10조 경기침체 갭. GDP갭은? 경기침체 10조 = 10조만큼 총지출을 늘려야 균형 GDP=완전고용GDP.
현재 음의 GDP갭 = 10조 x 승수 4(=1/(1-0.75)) = 40조 => -40조원
9.4 완전고용 GDP 400억, 소비함수 C(소비) = 0.8Yd(처분가능소득) + 40. GDP가 완전고용 GDP와 같아지려면 정부 지출을 얼마나 증가? 국민소득 균형조건 Y = C+I+G+Xn. Y=40+0.8(Y-0)+0+0.
0.2Y=40. 균형 GDP Y = 200억. 승수 5 = (1/(1-0.8))
현재 GDP 200억을 완전고용 GDP 400억으로 증가하려면 정부지출 40억(200억x5) 늘려야
9.5 물가수준이 상승할 때 총지출이 감소하는 이유 물가수준이 상승하면 현금, 예금 등 명목자산의 실질가치가 하락하면서 소비지출이 감소한다.
또한, 물가수준의 상승은;
화폐수요 증가를 통해 이자율을 상승시킴으로써 투자지출을 감소시킴.
교역대상국 대비 우리나라 수출품의 상대가격을 높임으로써 순수출을 감소시킴.
물가수준이 상승한다고 해서 정부가 언제나 긴축적 재정정책을 시행하는 것은 아님
10. 거시경제의 공급측면과 총수요-총공급 모형
10.1 노동시장과 총생산함수 노동수요곡선 우하향은 한계생산체감의 법칙에 기인
노동공급곡선 우상향은 노동공급이 증가할수록 여가를 누릴 때 얻을 수 있는 효용 증가
총생산함수 위의 점에서 그은 접선의 기울기는 노동의 한계생산, 한계생산체감의 법칙으로 노동투입량이 증가할수록 이 접선의 기울기는
감소
노동시장의 균형에서 결정된 고용량을 총생산함수에 대입하여 나오는 경제의 총공급량이 완전고용 GDP
10.2 총공급곡선 총공급곡선은 각각의 물가수준에서 기업들이 생산하고자 하는 최종재의 총량을 세로축이 물가수준인 좌표평면에 나타낸 것
단기적으로 명목임금이 고정된 상황에서 물가수준과 경제의 총공급은 서로 정(+)의 관계
장기에서는 물가수준의 변화와 관계없이 경제의 총공급이 완전고용 GDP와 일치
장기 총공급곡선은 완전고용 GDP 수준에서 수직인 직선
10.3 분석기간대별 총공급곡선의 형태 단기-우상향하는 총공급곡선: 생산물 가격이 고정된 초단기에서 총공급곡선은 고정된 물가수준에서 수평의 형태를 가짐. 생산물 가격은 신축적이나 임금이 경직적인 단기에서 총공급곡선은 우상향함. 생산물 가격과 임금 모두 신축적인 장기에서는 총공급곡선이 완전고용 GDP 수준에서 수직이 됨
10.4 초기의 완전고용상태에서 총수요가 증가하는 충격에 따라 갑자기 물가수준이 상승할 경우에 나타나는 현상 ① 단기적으로 총공급이 증가(명목임금이 경직적인 단기에 실질이윤증가로 기업들 생산량 늘림)
② 단기적으로 노동의 초과수요가 발생(총공급이 완전고용 GDP 수준을 초과)
③ 장기적으로 명목임금
상승(장기적으로는 임금이 신축적으로 되어 노동의 초과수요로 인해 명목임금 점차 상승)
④ 장기적으로 총공급이 완전고용 GDP와 같아진다(명목임금 상승으로 단기 총공급곡선 좌측으로 이동, 완전고용 GDP 수준으로 복귀)
10.5 초기의 완전고용상태에서 총수요가 감소하는 충격에 따라 갑자기 물가수준이 하락한 경우에 나타나는 현상 ① 단기적으로 총공급이 감소(명목임금이 경직적인 단기. 실질이윤이 감소하여 기업들 생산량 줄임)
② 단기적으로 노동의 초과
공급 발생(총공급이 완전고용 GDP 수준에 못 미치므로 노동 초과공급)
③ 장기적으로 명목임금 하락(임금 신축적인 장기. 노동 초과공급으로 명목임금 점차 하락)
④ 장기적으로 총공급이 완전고용 GDP와 같아진다(단기 총공급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한 결과, 경제의 총공급은 장기적으로 완전고용 GDP 수준으로 복귀)
11. 총수요-총공급모형의 응용
11.1 총수요곡선을 이동시키는 요인 ① 재산효과 또는 부의 효과로 가계의 재산 또는 부의 가치가 변화하면 소비지출이 변화하고 따라서 총수요곡선이 이동함(예: 가계 보유주택의 가격 변화)
소비자의 차입 여부 및 차입량 역시 현재 또는 미래의 소비지출을 변화시켜 총수요곡선을 이동시키는 요인임
소비자의 미래 경제상황에 대한 기대가 변하면 현재 소비지출이 변화하면서 총수요곡선이 좌우로 이동하게 됨(예: 공무원 시험에 합격한 취업준비생)
조세수준 또는 세율의 변화는 가계의 처분가능소득을 통해 소비지출을 변화시킴으로써 총수요곡선을 이동시키는 요인
11.2 총수요곡선의 이동 방향 ① 소비자의 미래 예상소득 증가 – 총수요곡선 우측 이동
② 물가 상승으로 인한 화폐수요 증가 및 이자율 상승 – 총수요곡선이동이 아닌, 균형점의 이동
③ 환율 하락에 따른 수출품의 달러표시 가격 상승 – 총수요곡선 좌측 이동
④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율 인상 – 총수요곡선 우측 이동
11.3 총공급곡선 이동 요인 ① 산업용 토지의 가격 상승 -> 좌측 => 생산요소 가격
② 국제 원자재 가격 폭등 -> 좌측 => 생산요소 가격
③ 기술혁신에 따른 생산성 증대 -> 우측 => 생산성
④ 물가수준의 상승 -> 균형점 이동
11.4 단기 총공급곡선을 이동시키는 요인과 이동방향 ① 외국인 근로자 유입으로 인한 임금 하락 – 총공급곡선 우측 이동 => 생산비용 감소
② 대규모 산업용지 조성에 따른 산업용 토지가격 하락 – 총공급곡선 우측 이동 => 생산비용 감소
③ 환율 상승으로 인한 수입 원자재 가격 상승 – 총공급곡선 좌측 이동 => 생산비용 증가
④ 불합리한 영업규제 철폐에 따른 규제준수비용 감소 – 총공급곡선 우측 이동
11.5 초기의 완전고용상태에서 총수요 또는 총공급 충격이 발생한 경우 나타나는 단기적인 변화 ① 총수요가 감소하는 충격이 발생하면 경기적 실업이 증가한다.
② 총수요 감소 시, 음의 GDP갭이 발생하고, 물가가 단기적으로
방경직적이라면 물가가 신축적인 경우에 비해 경기적 실업의 크기가 더욱 커진다.(균형 GDP 더 맣이 감소)
③ 총공급이 감소하는 충격이 발생하면 스태그플레이션이 나타난다.
④ 총공급 감소 시, 당국이 확장적 정책을 시행하면 GDP는 완전고용수준을 회복할 수 있으나 이 과정에서 인플레이션이 더욱 심화된다.
12. 총수요-총공급 모형과 거시경제정책
12.0 재정정책 정부가 경기안정화를 위해 정부지출 또는 조세를 변화시킴으로써 총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
– 확장적 재정정책: 경기침체와 경기적 실업을 해소하고 완전고용상태를 회복하기 위해 정부가 정부지출을 늘리거나 조세를 줄이는 것
– 긴축적 재정정책: 재정적자를 줄이고 국가부채를 갚기 위해 정부지출을 줄이거나 조세를 늘리는 경우

– 재량적 재정정책: 정부지출과 조세의 규모가 정부의 의도에 따라 결정
– 자동안정화장치: 제도의 특징으로 인해 자동적으로 변화

12.1 자동안정화장치 – 누진적 조세제도: 경기호황기에 조세수입이 늘어나는 반면, 경기불황기에는 조세수입이 줄어들면서 경기를 자동적으로 안정화
– 실업급여제도, 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수와 수급액이 경기호황기에 줄어드는 반면, 경기불황기에는 늘어나면서 자동적인 경기안정화 효과
cf. 기초연금제도: 특정 연령 이상의 국민에게 정액급여를 지급하는 제도로 수급자 수와 수급액이 경기상황과 관계없이 결정
12.2 한계소비성향 0.8, 균형 GDP 2000억 증가시키는 재정정책 이 경제의 승수는 5(=1/(1-0.8))
① 정부지출을 400억원 늘리면 균형 GDP는 2,000억원(=400억원×승수 5)만큼 증가
② 조세를 500억원 감면하면 처분가능소득이 같은 금액만큼 증가하면서 여기에 한계소비성향을 곱한 400억원(=500억원×0.8)만큼 소비가 증가함. 균형 GDP는 이러한 소비증가분에 승수를 곱한 2,000억원(=400억원×5)만큼 증가
③ 우선 2,000억원만큼 정부지출을 늘리면 여기에 승수를 곱한 1조원(=2,000억원×승수 5)만큼 균형 GDP가 증가함. 반면 2,000억원만큼 조세를 징수하면 여기에 한계소비성향을 곱한 1,600억원(=2,000억원×0.8)만큼 소비가 감소하며, 이러한 소비감소분에 승수를 곱한 8,000억원(=1,600억원×5)만큼 균형 GDP가 감소함. 정부지출 증가에 따른 GDP 증가분 1조원에서 조세 징수에 따른 GDP 감소분 8,000억원을 빼면 최종적으로 2,000억원만큼 균형 GDP가 증가
12.3 화폐공급 증가시키는 확장적 통화정책 공개시장조작 매입 – 재할인율 인하 – 법정지급준비율 인하
공개시장조작을 통해 채권을 매입(매각)하거나 재할인율을 인하(인상)하면 본원통화가 늘어남(줄어듦). 법정지급준비율을 인하(인상)하면 신용승수가 커지면서(작아지면서) 경제의 화폐공급이 늘어남(줄어듦). 지준부리 금리를 인하(인상)하면 은행들이 대출을 늘리면서(줄이면서) 경제의 화폐공급이 늘어남(줄어듦)
12.4 확장적 통화정책 전달경로 지급준비금 증가 또는 신용승수 (확대) → 대출 증가 및 화폐공급 증가 → 시장이자율 (하락) → 투자지출 증가 → 총수요곡선 (우측) 이동
12.5 확장적 재정정책 정부지출 증가시 확장적 재정정책에 따라 정부지출이 증가하면 단기적으로 투자지출이 (감소)하고, 확
장적 통화정책에 따라 화폐공급이 증가하면 단기적으로 투자지출이 (증가)한다.
13. 총수요-총공급 모형과 거시경제정책Ⅱ
13.1 완전한 변동환율제도에서 확장적 통화정책(화폐공급 증가)을 시행할 경우 나타나는
현상
① 국내이자율 하락(화폐공급 증가로)
② 해외로의 자본유출 확대 (국내이자율 하락으로 우리나라 투자시 기대 평균수익률 하락)
③ 명목환율 상승 (자본 유출 확대로 외환 수요 증가로)
④ 순수출 증가 (수출품의 외화표시 가격 하락)
13.2 고정환율제도에서 확장적 재정정책(정부지출 증가)을 시행할 경우 나타나는 현상 ① 국내 화폐공급 증가 (정부지출 증가로 인한 화폐수요 증가에 따라 화폐시장의 균형이자율이 상승)
② 국내로의 자본유입 확대(국내 이자율 상승으로)
③ 총수요곡선 우측 이동 (자본 유입 확대로, 외환공급 증가, 환율하락 압력=> 중앙은행은 환율을 고정시키기 위해 초과공급된 외환을 매입하고 국내통화를 매도하는 개입을 실시함. 그 과정에서 국내 화폐공급이 증가하며, 이는 이자율 하락을 통해 투자지출과 총수요를 추가로 증가시키는 요인이 됨)
④ 중앙은행의 외환매입
13.3 필립스 곡선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율과 실업률 간에 역의 상관관계. Y축 인플레이션율, X축 실업률, 우하향 곡선.
총수요 충격으로 경기변동시 필립스곡선 우하향(인플레 높아질수록 실업률 낮아짐), 총공급 충격으로 경기변동시 우상향

총수요충격: 소비의 급격한 감소나 증가, 정부 지출의 감소 혹은 증가, 수출입의 변화
총공급충격: 자연재해, 기술 혁신, 생산성의 변화, 원자재 가격의 급격한 상승 혹은 하락

13.4 자연실업률 가설-거시경제정책 효과 장기 필립스곡선이 자연실업률 수준에서 수직이므로, 재정 및 통화정책과 같은 거시경제정책은 단기적으로만 효과가 있을 뿐 장기에서는 실업률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함
13.5 자연실업률 가설 ① 자연실업률가설에 따르면 통화정책은 장기적으로 실업률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한다.
② 자연실업률 자체가 변화하는 이력 현상이 나타나는 경우,
자연실업률가설의 예측과 달리 일시적인 경기침체가 장기적인 실업률 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음
③ 자연실업률가설에 따르면,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율과 실업률 사이에 상충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④ 자연실업률가설에 따르면, 장기 필립스곡선은 자연실업률 수준에서 수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