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와 욕망

Luke Avatar
글쓰기와 욕망

쓰기는 읽기에 비해 진입장벽이 높다. 읽기는 누구나 할 수 있고, 무엇이든 읽을 수 있다. 비록 이해 못할 수도 있지만, 아무리 어려운 책이라도, 읽기는 어떤 어렴풋한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다. 하지만 쓰기는 어떤 경우 한 글자도 쓸 수 없다. 그래서 쓰기는 익어야 하는 것이고, 배워야 하는 것이다. 어느 정도 LEVEL에 도달하기까지 쓰기는 매우 부담스러운 것이다. 쓰기에는 잘 쓰고 싶은 욕망이 존재한다. 잘 쓴다는 것은 무엇일까? 가장 기본적으로 자신의 생각과 하고 싶은 말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 아닐까? 하지만 이것은 결코 쉬운 것이 아니다. 100% 자신의 생각을 글로 옮길 수 있을까? 이것은 글쓰기 신선의 경지 에 오른 도스토옙스키에게도 매우 어려운 과제일 것이다. 그래서 데리다는 쓰는 순간 TEXT는 작가를 떠난다고 이야기한 것이다. 쓰는 순간 글은 집 나간 자식처럼 그의 삶을 사는 것이다. 그러므로 너무 자신의 생각이 어느 정도 정리된 형태로 나왔다면, 만족하자! 그리고 그 글에 자유를 줘 버리자!

“돈이 필요할 때, 연기는 더욱 절실해진다” – 어느 인터뷰에서 윤여정 씨가 했던 말이다. 아들을 키우기 위해 돈이 필요했고, 그 절실 함이 자신의 연기력을 키웠다는 설명이다. 돈에 대한 절실함이 연기의 추진력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럼 쓰기에서도 이러한 사례가 있을까? 늘 빚에 쪼들리던 도스토옙스키가 좋은 사례는 아닐까? 도스토옙스키는 도박을 위해, 신혼여행을 위해, 도박 빚을 지거나, 선불을 받거나, 늘 빚에 쫓기는 삶을 살았다. 그에게 빚은 소설 창작의 추동력이었을까? 만약 그가 부유한 사람이라면 위대한 소설가가 되 지 못했을까? 귀족 출신 나보코프나 대지주 톨스토이를 생각해보면 꼭 그럴 것 같지는 않다. 돈은 소설의 추진력이라기보다는 ‘쓰기’의 추진력 정도는 될 듯하다. 그것도 매우 개인적인 차원에서 만 말이다.

쓰기를 추동하는 힘은 무엇일까? 글쓰기는 경험, 관찰 그리고 읽기에 의하여 추동될 수 있다. 많고 다양한 경험과 사건과 대상에 대한 면밀한 관찰은 사람의 머릿속에서 어떠한 생각을 일으킨다. 현상과 대상에 대한 관찰은 그것에 대한 감정이입과 더불어 표현의 욕구를 추동할 수 있다. 그리고, 읽기도 경험의 부분으로 볼 수 있지만, 쓰기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측면에서, 특히 쓰고자 하는 사람의 읽기는 모방, 질투, 부러움의 감정을 만들어 낸다는 측면에서, 읽기는 쓰기를 추동하는 보다 강력한 힘이 된다. 이런 경험, 관찰과 읽기를 통해 추동된 쓰기는 시든, 소설이든, 에세이 든 글의 형태로 완성되는데, 이런 글은 게시, 공표, 출판과 같은 과정을 만났을 때, 비로소 완성된다. 자기 혼자 보기 위해 글을 쓰는 것은 일기를 쓰는 것이다.

그럼 글쓰기의 마지막 과정으로서 ‘보여주기’ 를 추동하는 힘은 무엇일까? 경제적인 절실함, 허세 그리고 인정받고자 하는 욕망 같은 것은 아닐까? 도스토옙스키의 쓰기는 경제적인 절실함이 추동한 것일 수 있다. 밥벌이의 현실적인 절실함이 쓰기를 추동한 것이다. 그리고 쓰기의 추동력으로써 허세는 인정받고자 하는 욕망과 유사할 수 있는데, 이경우 쓰기는 욕구와 욕망에 의해 추동되는 본능 정도 로 여겨질 수 있다. 뭔가 거창할 것 같은 쓰기가 고작 나의 본능, 욕망이라니…, 갑자기 쓰기가 참 쓸데없어 보인다.

쓰기의 비전은 무엇일까? 내 생각에는 ‘보여주기’가 아닐까 생각한다. 게시, 공표, 출판의 욕구는 ‘보여주기’라는 말로 묶을 수 있을 것 같다. 자기 혼자 보기 위하여 글을 쓰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쓰기 자체가 인정받고 싶은 욕구와 욕망에 의해 추동되기 때문에, 즉 인간의 기본적인 본능의 영역에 근거하기 때문에, 보여주기는 쓰기의 추진력이면서, 동시에 쓰기의 비전이 될 수밖에 없다. 자기 자신만을 위한 글, 그것은 일기뿐이다. 특히 개인적으로 브런치를 시작하며, ‘보여주기’는 쓰기의 진정한 비전임을 깨달아 간다. 매일매일의 조회수, 가끔씩 공지되는 작가를 위한 응모의 기회, 나의 친구들(동지들) 이 눌러주는 라이크 개수에 일희일비하며 살아가고 있는 생소한 나를 대할 때면, 다시 한번 쓰기의 비전은 ‘보여주기’ 임을 절절하게 느낀다.

‘욕구’는 인간의 기본적 본능이다.

동시에, 그것은 생존과 번영의 원동력이다. 그 욕구를 채우고자 사람들은 움직였고, 무언가를 만들어 냈으며, 소비하고 삶의 범위를 넓혀간 것이다.

욕구는 긍정적이면서도 부정적인 면이 없지 않다.

늘 그렇듯, 적절한 정도는 긍정적이지만 지나치면 부정적이다. 욕구가 욕망이 되거나 욕심으로 변질되는 경우를 우리는 잘 안다. 적절한 식사는 긍정적이지만 폭식이나 과식은 몸에 해롭다. 우리는 늘 그렇게 욕구의 긍정과 부정의 영역에서 아슬아슬하게 줄타기를 하고 있다.

중요한 건, 욕구는 기어이 채우거나 해소해야 한다는 것이다.

억압된 욕구는 반드시 나타난다. 짜증이나 화 같은 감정으로 나오기도 하고, 무의식 중에 꿈으로 발현되기도 한다. 누군가에게 억눌렀던 감정이 꿈에서 폭발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연인에게 하고 싶은 말을 꾹 참다가 한 순간에 터져버린 경우도 다반사다.

욕구의 단계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듯이 매슬로우는 이 욕구를 5단계로 나누었다.

생리적 욕구, 안전욕구, 소속과 애정 욕구, 존중 욕구, 자아실현 욕구가 그것이다. 매슬로우에 따르면, 하위의 욕구가 해소되어야 상위 욕구가 나타나 해소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런데 이에 대한 재미있는 해석이 있다.

작금의 시대는, ‘WiFi’욕구가 있어야 이것들이 해결된다는 것. 전체를 아우르면서 그 기초가 되는 새로운 욕구가 탄생한 것이다. 일견, 그 말이 맞다. 화장실 위치도 와이파이로 찾는 시대 아닌가.

나는 이것이 농담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심리학은 인간의 삶의 방식과 환경에 따라 변화해야 하는데, WiFi 욕구론은 지금의 그것을 정확하게 간파했다. 실제로, WiFi가 없으면 사람들이 얼마나 불안해하는지 실험을 하지 않아도 알 정도다. 그리고 그로 인한 욕구불만과 결핍의 정도를 우리는 도저히 상상할 수가 없다.

그런데 요즘 나에겐 WiFi보다 더 강력한 욕구가 생겼다.

당최 그것을 다루지 않거나 해소하지 않으면 금단 현상이 오는 정도의 그것.

바로 ‘글쓰기 욕구’다.

매슬로우 욕구 5단계를 떠받치는 또 다른 욕구들매슬로우 욕구 5단계를 떠받치는 또 다른 욕구들

‘글쓰기’라는 욕구

갑자기 영감이 떠오른다.

일상생활에서 보이지 않던 게 보인다. 사물에 호흡을 넣어 보고, 움직이지 않는 것에 역동성을 가미한다. 말하지 못하는 것들에 말을 걸고, 지나가는 바람도 허투루 놔주지 않는다. 감정이라는 것에 물리적, 화학적 용어를 갖다 대고 반대로 물리적이고 화학적인 것들에 감정을 섞어 본다.

그러면 여지없이 나는 써야 하는 것이다.

그 영감들이 날아갈까 봐, 다시는 오지 않을까 봐 메모하고 또 메모한다. 샤워하며 머리를 감다가도 뛰쳐나온다. (신기한 게 좋은 생각과 번뜩이는 아이디어는 머리 감을 때 자주 튀어나온다.)

머리가 두근두근하고, 가슴은 명석해지고, 손 끝이 근질근질 거리는 그 순간.

바로 글쓰기라는 욕구가 차오를 때다.

‘글쓰기 욕구’는 매슬로우 욕구 5단계를 ‘분명히’ 관통한다.

글을 쓰지 못하면 글에 대한 고픔이 상당하고, 글을 씀으로써 안전함을 느낀다. 더불어, 소속과 애정 욕구 또한 충족되고 존중을 넘어 자아실현을 향해 달려가는 나를 발견한다. 내 글과, 나 그리고 그것을 읽어 주는 분들과의 교류를 통해 그 욕구들이 자연스레 채워지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욕구도 욕심이나 욕망으로 변질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함을 안다.

책을 위한 글, 글을 위한 글, 과시하기 위한 글, 멋 부리기 위한 글은 욕구를 벗어난 것들이다. 다 부질없음을, 배불리 먹고 나면 후회할 것을 나는 잘 안다. 느리더라도, 고만고만하더라도 글을 쓰기로 한 그 첫 다짐을 기억하며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가다보면 나는 나에게 좀 더 가까워 있지 않을까.

욕구는 채워지지 않는다.

한 번에 채우려는 건 욕심이자 오만이다.

다만, 그것을 채워나가는 과정에서 우리는 성장한다는 걸 알아채야 한다.

글쓰기라는 욕구가 자랑스러운 이유다.